©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9월 9일 ‘귀의 날’을 맞이하여 ‘귀 관련 질환(귀 및 유돌의 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558만명에서 2014년 약 571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3만명(2.3%)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0.6%이며, 총진료비는 2010년 약 4,085억원에서 2014년 약 4,681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596억원(14.6%)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5%를 보였다.

또한 ‘귀 및 유돌의 질환‘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질환은 ’화농성 및 상세불명의 중이염‘으로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571만명 중 165만명(3명중 1명)이 진료를 받았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발생한 ‘중이염’은 ‘화농성 및 상세불명의 중이염’, ‘비화농성 중이염‘,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중이염‘으로, 각각의 진료인원(2014년 기준)은 165만명, 86만명, 3만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중이염’ 다음으로 많이 발생한 귀 질환은 ‘외이염’, ‘전정기능의 장애’ 등이 있으며, 특히 ‘전정기능의 장애’는 5년 전에 비해 진료인원이 30%가 증가하였다.


연령구간별로 많이 발생한 질환을 분류해보면, 2014년 기준으로 10세 미만에서 ‘화농성 및 상세불명의 중이염’, 10세 이상~70세 미만은 ‘외이염’, 70세 이상은 ‘전정기능의 장애’가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차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중이염: 소아는 성인보다 귀인두관이 짧고 수평에 가까워 세균의 침입이 쉽고 면역력이 약해 쉽게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 부비동염 발생.
‣외이염: 수영이나 목욕 시 물의 침입, 귀이개 사용 등으로 인한 외상, 습진 등의 이유로 주로 성인에게 발생.
‣전정기능의 장애: 노인에서 호발하나 20대 이후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전정기능에 이상으로 발생.


귀는 우리 몸에서 소리를 듣는 것 외에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질환이 발생하면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귀의 농이 생기며, 심한 경우 어지럽거나 안면신경 마비 등이 발생한다.

귀에 관련된 질환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 하도록 보호하고 이명, 난청 등의 증상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수영, 샤워를 할 때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하며, 물이 들어갔을 때는 귀를 기울여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도록 하거나 부드러운 휴지를 돌돌 말아넣어 휴지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며, 면봉 등을 잘 못 사용하게 되면 상처를 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습관적으로 귀이개 등으로 귀지를 후비는 행위는 외이에 상처를 내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귀지는 파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답답함이 오래 가거나 참을 수 없을 만큼 가렵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그리고 최근 잦은 이어폰 사용이나 고음에 노출되는 경우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명 증상 등 이상증상이 느껴지면 바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노영수 상근심사위원은 “성인들은 면봉을 이용하여 귀를 후빌 경우 귀 안의 이물질로 인해 상처가 발생할 수 있어 ‘외이염’ 발생에 주의해야 하며, 특히 소아들은 ‘중이염’에 걸려도 의사표현이 어려우므로 평소보다 울며 보챌 때는 귀를 자주 만지거나 발열, 귀물 등의 증상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평소 어지럼증을 동반한 이명, 난청 및 오심, 구토, 두통, 보행 장애 등의 뇌신경 증상이 발생하면 ‘전정기능의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료를 받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