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국회의원' 신의진, 손자녀 면접교섭권 개정안 발의
김수정 기자
3,476
공유하기
20일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은 맞벌이 증가로 자식을 대신해 손자녀를 키운 조부모에게도 자식 이혼시 손자녀에 대한 면접교섭권을 부여하는 민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맞벌이 증가를 비롯해 한 자녀 가정이 상당수 있는 가운데 부부가 이혼할 시 바쁜 부모 대신 손자녀를 어릴 때부터 실제 양육했던 조부모에게 손자녀 면접교섭권에 대한 별도의 법 규정이 없어 이혼한 부모가 부재시 손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양육에 관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민법에 따르면 부부가 이혼하는 경우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고 있는 부모의 일방과 자녀간 면접교섭권을 인정하고 있다고 신 의원은 밝혔다.
신 의원은 "부부 이혼 후 양육권이 없는 부모가 사망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장기간 입원한 경우, 해외에 체류하는 경우 등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는 부모의 면접교섭권 행사가 불가능할 때 조부모 등 친인척과의 교류가 완전히 단절되는 사례가 다수"라고 지적했다.
이에 개정안은 자녀의 조부모, 형제·자매, 상당기간 동안 양육을 담당했던 친족도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 자녀와의 면접교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혼 후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도록 했다.
신 의원은 "최근 부모 대신 조부모 등이 손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경우가 늘면서 조부모 등에 대한 면접교섭권 보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법안이 통과될 경우 갑작스런 가정 해체로 혼란스러울 수 있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맞벌이 증가를 비롯해 한 자녀 가정이 상당수 있는 가운데 부부가 이혼할 시 바쁜 부모 대신 손자녀를 어릴 때부터 실제 양육했던 조부모에게 손자녀 면접교섭권에 대한 별도의 법 규정이 없어 이혼한 부모가 부재시 손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양육에 관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민법에 따르면 부부가 이혼하는 경우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고 있는 부모의 일방과 자녀간 면접교섭권을 인정하고 있다고 신 의원은 밝혔다.
신 의원은 "부부 이혼 후 양육권이 없는 부모가 사망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장기간 입원한 경우, 해외에 체류하는 경우 등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는 부모의 면접교섭권 행사가 불가능할 때 조부모 등 친인척과의 교류가 완전히 단절되는 사례가 다수"라고 지적했다.
이에 개정안은 자녀의 조부모, 형제·자매, 상당기간 동안 양육을 담당했던 친족도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 자녀와의 면접교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혼 후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도록 했다.
신 의원은 "최근 부모 대신 조부모 등이 손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경우가 늘면서 조부모 등에 대한 면접교섭권 보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법안이 통과될 경우 갑작스런 가정 해체로 혼란스러울 수 있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 /자료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