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총장 후보 4명 프로필, 연수원 16기냐 17기냐
박세령 기자
5,264
공유하기
'검찰총장 후보'
12월 임기가 끝나는 김진태 검찰총장 후임으로 4명의 검찰총장 후보가 선정됐다.
법무부는 지난 28일 과천 법무부청사에서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검찰총장 후보로 김수남(56·16기) 대검 차장, 김경수(55·17기) 대구고검장, 김희관(52·17기) 광주고검장, 박성재(52·17기) 서울중앙지검장을 추천했다.
법무부는 학력, 경력, 재산 등 객관적인 신상자료와 더불어 능력과 리더십, 지휘역량, 검찰 안팎의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천된 4인 중 사법연수원 16기인 김수남 대검찰청 차장 검사는 대구 출신으로 청구고와 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대검 중수부 3과장과 서울중앙지검 3차장, 서울중앙지검장 등 핵심 보직을 맡으면서 수사와 기획, 공보 등에서 탁월하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수원지검장 시절 이석기 내란음모 사건과 서울중앙지검장 재직 당시에는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수사를 매끄럽게 처리했다는 평이다. 법무부 정책홍보관리관도 지내 대언론 관계도 매끄럽다는 평을 받는다.
사법연수원 17기인 김경수 대구고검장은 경남 진주 출신으로 진주고와 연세대를 나왔다. 김 고검장은 한보그릅 특혜비리 의혹사건 등 대형 특수수사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특수통'으로 꼽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검사와 특수2부장을 지냈으며 김영삼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씨 비리 사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 홍업씨 비리 사건, 행담도 개발 사건 등 굵직한 수사 경험이 많다. 중수부 공적자금비리합동단속반, 대검 대변인, 마지막 대검 중수부장을 역임했다.
사법연수원 17기인 김희관 광주고검장은 전북 익산 출신으로 전주고와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지검 동부지청 검사로 공직에 입문했다. 원만한 성품으로 기획 및 정책판단 능력에 탁월하다는 평가다.
부산지검 부부장, 정읍지청장,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 수원지검 공판부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2차장, 대전지검 차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탁월한 분석력과 창의적 사고로 업무수행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대인관계가 원만해 선·후배들에게도 호평을 받고 있다.
박성재 서울중앙지검 지검장은 경북 청도 출신으로 대구고와 고려대를 졸업하고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온화하면서도 강직한 성품을 지녔으며, 책임감과 업무 추진력이 강하다는 평이다.
서울지검에서 시작해 대검 검찰연구관, 서울중앙지검금융조사부 부장검사, 법무부 감찰담당관,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 대구지검 1차장 검사 등을 역임하면서 '삼성 에버랜드 전환사채(CB)사건'과 각종 주가조작 사건을 처리하는 등 기업관련 수사에 두각을 보였다.
12월 임기가 끝나는 김진태 검찰총장 후임으로 4명의 검찰총장 후보가 선정됐다.
법무부는 지난 28일 과천 법무부청사에서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검찰총장 후보로 김수남(56·16기) 대검 차장, 김경수(55·17기) 대구고검장, 김희관(52·17기) 광주고검장, 박성재(52·17기) 서울중앙지검장을 추천했다.
법무부는 학력, 경력, 재산 등 객관적인 신상자료와 더불어 능력과 리더십, 지휘역량, 검찰 안팎의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천된 4인 중 사법연수원 16기인 김수남 대검찰청 차장 검사는 대구 출신으로 청구고와 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대검 중수부 3과장과 서울중앙지검 3차장, 서울중앙지검장 등 핵심 보직을 맡으면서 수사와 기획, 공보 등에서 탁월하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수원지검장 시절 이석기 내란음모 사건과 서울중앙지검장 재직 당시에는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수사를 매끄럽게 처리했다는 평이다. 법무부 정책홍보관리관도 지내 대언론 관계도 매끄럽다는 평을 받는다.
사법연수원 17기인 김경수 대구고검장은 경남 진주 출신으로 진주고와 연세대를 나왔다. 김 고검장은 한보그릅 특혜비리 의혹사건 등 대형 특수수사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특수통'으로 꼽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검사와 특수2부장을 지냈으며 김영삼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씨 비리 사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 홍업씨 비리 사건, 행담도 개발 사건 등 굵직한 수사 경험이 많다. 중수부 공적자금비리합동단속반, 대검 대변인, 마지막 대검 중수부장을 역임했다.
사법연수원 17기인 김희관 광주고검장은 전북 익산 출신으로 전주고와 서울대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지검 동부지청 검사로 공직에 입문했다. 원만한 성품으로 기획 및 정책판단 능력에 탁월하다는 평가다.
부산지검 부부장, 정읍지청장,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 수원지검 공판부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2차장, 대전지검 차장검사 등을 역임했다. 탁월한 분석력과 창의적 사고로 업무수행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대인관계가 원만해 선·후배들에게도 호평을 받고 있다.
박성재 서울중앙지검 지검장은 경북 청도 출신으로 대구고와 고려대를 졸업하고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온화하면서도 강직한 성품을 지녔으며, 책임감과 업무 추진력이 강하다는 평이다.
서울지검에서 시작해 대검 검찰연구관, 서울중앙지검금융조사부 부장검사, 법무부 감찰담당관,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 대구지검 1차장 검사 등을 역임하면서 '삼성 에버랜드 전환사채(CB)사건'과 각종 주가조작 사건을 처리하는 등 기업관련 수사에 두각을 보였다.
![]() |
대검찰청. /자료사진=뉴스1DB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