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심상정 "대통령 혼자서 흑백TV로 세상을 보고 있다"
박세령 기자
2,962
공유하기
'역사교과서 국정화' '황교안 국무총리'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3일 이뤄진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강력히 규탄했다.
심상정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박근혜정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사람들은 모두 총천연색으로 컬러TV를 보고 있는 세상에 박근혜 대통령 혼자서 흑백TV로 세상을 보고 있다"고 일침했다.
심 대표는 "그 마저도 낡은, 고장난 TV"라면서 "그 TV는 40여 년 전 유신독재 시절의 풍경만 반복 재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 황교안 총리의 대국민담화는 기가막힐 따름"이라며 "색깔론을 동원해 사실관계를 왜곡 편집하고 검인정 교과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아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경고한다. 동서고금의 역사가 알려주는 단 하나의 진실은 나쁜 권력을 반드시 무너진다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통령도 그 어떤 권력도 시민들로부터 잠정적으로 위임받은 권력에 불과하다. 국민을 대통령이 이길 수 없다"고 질타했다.
다음은 심상정 대표의 기자회견 전문이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3일 이뤄진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강력히 규탄했다.
심상정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박근혜정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사람들은 모두 총천연색으로 컬러TV를 보고 있는 세상에 박근혜 대통령 혼자서 흑백TV로 세상을 보고 있다"고 일침했다.
심 대표는 "그 마저도 낡은, 고장난 TV"라면서 "그 TV는 40여 년 전 유신독재 시절의 풍경만 반복 재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 황교안 총리의 대국민담화는 기가막힐 따름"이라며 "색깔론을 동원해 사실관계를 왜곡 편집하고 검인정 교과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아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경고한다. 동서고금의 역사가 알려주는 단 하나의 진실은 나쁜 권력을 반드시 무너진다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통령도 그 어떤 권력도 시민들로부터 잠정적으로 위임받은 권력에 불과하다. 국민을 대통령이 이길 수 없다"고 질타했다.
다음은 심상정 대표의 기자회견 전문이다.
결국 박근혜 정부가 국사교과서 국정화를 확정고시 했습니다. 그 동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국민들의 최종 결론은 ‘국정화 하지 마라’였습니다.
역사학자의 절대 다수가 집필을 거부했습니다. 교사들의 절대 다수가 가르치지 않겠다고 합니다. 학생들은 배우지 않겠다고 합니다. 국민들은 다수가 반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정권은 결국 국민의 반대편에 섰습니다. 헌법과 민주주의를 일탈하고 있습니다. 시대착오적이고 후진적인 권력으로 국제사회의 조롱거리가 되고 말았습니다. 역사는 오늘 박근혜정권의 반역을 기록할 것입니다. 국민을 이기려 한 권력을 우리 시민들은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친일 매국노가 애국자로 둔갑하고 국민들을 고문하던 독재자는 국부로 탈바꿈하고, 노동자의 고혈을 쥐어짜던 재벌이 국가발전의 성인으로 추앙받는 역사왜곡이 시도될 것입니다. 이것은 기우가 아닙니다. 이미 그 징조는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런 의도가 아니었다면 박근혜정권이 이토록 무지막지하게 불법적으로 그리고 은밀하게 국정화를 추진할 이유가 없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모두 총천연색으로 컬러TV를 보고 있는 세상에 박근혜 대통령 혼자서 흑백TV로 세상을 보고 있습니다. 그 마저도 낡은, 고장난 TV입니다. 그 TV는 40여 년 전 유신독재 시절의 풍경만 반복 재생하고 있습니다.
오늘 황교안 총리의 대국민담화는 기가막힐 따름입니다. 색깔론을 동원해 사실관계를 왜곡 편집하고 검인정 교과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아갔습니다. 다양성이 없어서 단일화 하겠다는 궤변, 이게 막걸린지 말인지 모를 궤변을 늘어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분명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대한민국을 긍정하는 것도 부정하는 것도 아닌 획일주의를 강요할 것이냐 다양성을 함양할 것이냐의 문제로 정확히 보고 있습니다. 좌우 이념대립이 아니라 상식과 몰상식의 대립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보수정권, 진보정권을 넘어 정착되어오던 검인정 교과서를 이제 와서 뜬금없이 뒤집어엎겠다는 것은 그야말로 민주정치 과정을 부정하는 반국가적 발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경고합니다. 동서고금의 역사가 알려주는 단 하나의 진실은 나쁜 권력을 반드시 무너진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 대통령도 그 어떤 권력도 시민들로부터 잠정적으로 위임받은 권력에 불과합니다. 국민을 대통령이 이길 수 없습니다.
오늘 박근혜정부의 국정화 확정 고시는 통탄할 후회가 될 것입니다. 역사 앞에 겸허해 지십시오. 어떻게 덧칠해도 부끄러운 역사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엎질러진 물이긴 합니다만 지금이라도 주워담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결정을 철회화고 국민의 뜻을 따르십시오.
정의당은 이대로 대한민국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입니다. 시민들과 함께 끝까지 불복종 운동을 전개할 것입니다. 민생에 앞장서서 시민들의 삶을 지킬 것입니다. 시민들의 힘으로 국민을 이기려 한 권력을 반드시 심판할 것입니다.
역사학자의 절대 다수가 집필을 거부했습니다. 교사들의 절대 다수가 가르치지 않겠다고 합니다. 학생들은 배우지 않겠다고 합니다. 국민들은 다수가 반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정권은 결국 국민의 반대편에 섰습니다. 헌법과 민주주의를 일탈하고 있습니다. 시대착오적이고 후진적인 권력으로 국제사회의 조롱거리가 되고 말았습니다. 역사는 오늘 박근혜정권의 반역을 기록할 것입니다. 국민을 이기려 한 권력을 우리 시민들은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친일 매국노가 애국자로 둔갑하고 국민들을 고문하던 독재자는 국부로 탈바꿈하고, 노동자의 고혈을 쥐어짜던 재벌이 국가발전의 성인으로 추앙받는 역사왜곡이 시도될 것입니다. 이것은 기우가 아닙니다. 이미 그 징조는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런 의도가 아니었다면 박근혜정권이 이토록 무지막지하게 불법적으로 그리고 은밀하게 국정화를 추진할 이유가 없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모두 총천연색으로 컬러TV를 보고 있는 세상에 박근혜 대통령 혼자서 흑백TV로 세상을 보고 있습니다. 그 마저도 낡은, 고장난 TV입니다. 그 TV는 40여 년 전 유신독재 시절의 풍경만 반복 재생하고 있습니다.
오늘 황교안 총리의 대국민담화는 기가막힐 따름입니다. 색깔론을 동원해 사실관계를 왜곡 편집하고 검인정 교과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처럼 몰아갔습니다. 다양성이 없어서 단일화 하겠다는 궤변, 이게 막걸린지 말인지 모를 궤변을 늘어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분명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대한민국을 긍정하는 것도 부정하는 것도 아닌 획일주의를 강요할 것이냐 다양성을 함양할 것이냐의 문제로 정확히 보고 있습니다. 좌우 이념대립이 아니라 상식과 몰상식의 대립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보수정권, 진보정권을 넘어 정착되어오던 검인정 교과서를 이제 와서 뜬금없이 뒤집어엎겠다는 것은 그야말로 민주정치 과정을 부정하는 반국가적 발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경고합니다. 동서고금의 역사가 알려주는 단 하나의 진실은 나쁜 권력을 반드시 무너진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 대통령도 그 어떤 권력도 시민들로부터 잠정적으로 위임받은 권력에 불과합니다. 국민을 대통령이 이길 수 없습니다.
오늘 박근혜정부의 국정화 확정 고시는 통탄할 후회가 될 것입니다. 역사 앞에 겸허해 지십시오. 어떻게 덧칠해도 부끄러운 역사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엎질러진 물이긴 합니다만 지금이라도 주워담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결정을 철회화고 국민의 뜻을 따르십시오.
정의당은 이대로 대한민국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입니다. 시민들과 함께 끝까지 불복종 운동을 전개할 것입니다. 민생에 앞장서서 시민들의 삶을 지킬 것입니다. 시민들의 힘으로 국민을 이기려 한 권력을 반드시 심판할 것입니다.
![]() |
황교안 국무총리가 3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전환 확정고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사진=임한별 기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