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터 에그'란 IT분야에서 프로그램 개발자가 프로그램 속에 몰래 숨겨 놓은 기능이나 메시지를 의미한다. 개발자들은 몰래 숨기고, 이용자들은 눈에 불을 켜고 찾아내는 재미가 있는 이스터 에그.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은 뭐가 있을까.


구글 사이트
구글 사이트는 말 그대로 '이스터 에그의 밭'이다. 지금 이 순간도 구글 엔지니어들은 구글 어딘가에 이스트 에그를 숨기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구글 사이트에 숨겨져 있는 이스터 에그 몇 가지를 정리했다.

-안드로이드보다 낫다
안드로이드 체제를 만든 구글. '아이폰이 안드로이드보다 낫다'고 하면 인터넷 상이지만 삐치나 보다. 번역기에 '아이폰이 안드로이드보다 낫다'고 입력하면 'Android is better than iPhone(안드로이드가 아이폰보다 낫다)'이라고 번역된다.


'안드로이드가 아이폰보다 낫다'는 구글 번역기 /자료=구글
'안드로이드가 아이폰보다 낫다'는 구글 번역기 /자료=구글


-'tilt', 'askew' 검색
'기울다'라는 뜻을 가진 'tilt'와 '삐딱하게'라는 뜻을 가진 'askew'를 검색하면 말 그대로 화면이 삐딱하게 기운다. 단순 영어단어 검색이지만 구글의 '위트'가 돋보인다.



기울어진 'tilt' 검색화면(위)과 삐딱한 'askew' 검색화면 /자료=구글
기울어진 'tilt' 검색화면(위)과 삐딱한 'askew' 검색화면 /자료=구글


-가장 외로운 숫자
구글이 생각하기에 가장 외로운 숫자는 무엇일까. 구글 검색창에 'what is the loneliest number'라고 치면 계산기 화면에 '1'이라는 숫자가 외로이 떠있다. '혼자'는 외롭다는 구글의 확인사살이자 혼자여서 외로웠던 개발자가 입력한 이스터 에그인 듯하다.


구글이 생각하기에 가장 외로운 숫자인 '1' /자료=구글
구글이 생각하기에 가장 외로운 숫자인 '1' /자료=구글


-저그 러시
구글 검색창에 'zerg rush'를 입력하면 알파벳 'o'들이 검색결과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저그 러시'는 '스타크래프트' 출시 14주년을 기념해 구글 엔지니어가 개발한 것으로 공격하는 'o'들은 스타크래프트 종족 중 하나인 저그의 유닛인 저글링을 본 따서 만들었다고 한다. 이용자들은 밀려오는 'o'들을 마우스로 클릭해 해치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검색결과가 모두 파괴되고 결국에는 상대방에게 패배를 인정받는 'GG(Good Game)'라는 문구를 보게 될 것이다. 떨어지는 'o'들을 구경하다가 'GG' 당하고 싶지 않다면 검색 후 얼른 'o'들을 해치울 것.


'저그 러시' 검색 후 파괴되기 시작하는 검색결과 /자료=구글
'저그 러시' 검색 후 파괴되기 시작하는 검색결과 /자료=구글


-벽돌깨기
구글에 ‘atari breakout’을 검색한 후 이미지 탭을 누르면 아타리(atari)사의 유명한 게임인 벽돌깨기(breakout)가 실행된다. 검색된 이미지들이 벽돌로 변하고 하단에 ‘바’가 생성돼 게임을 할 수 있다. 구글이 게임 출시 36주년 기념으로 숨겨놓은 이스터 에그다.


'atari breakout' 검색한 후 실행되는 벽돌깨기 게임 /자료=구글
'atari breakout' 검색한 후 실행되는 벽돌깨기 게임 /자료=구글


구글 어스
구글이 제공하는 입체 세계지도 및 우주탐색 서비스인 구글 어스에는 굉장히 많은 이스터 에그들이 숨겨져 있다. 세계와 우주를 아울러야 하는 방대한 작업 중 개발자들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였을까? 이스터 에그를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구글 어스에서 경쟁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 폭스의 로고를 보고 싶다면 ‘45° 7'25.87"N 123° 6'48.97"W’를 입력하자. 미스터리 서클처럼 ‘불여우’가 새겨져 있다. 미키마우스를 보고 싶다면 ‘28 23 46 N 81 34 42.11 W’를 입력하면 된다. 이외에도 ‘Bar’를 가고 싶었던 개발자가 새겨 놓은 듯한 ‘Bar Mountains’나 구글의 로고 등이 꽁꽁 숨겨져 있다.


구글 어스에 있는 '파이어폭스'(위)와 '미키마우스' /자료=구글 어스
구글 어스에 있는 '파이어폭스'(위)와 '미키마우스' /자료=구글 어스



유튜브
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에도 이스터 에그가 숨겨져 있다. 유튜브 검색창에 ‘use the force, luke(루크, 포스를 사용해)’를 검색하면 유튜브 화면을 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영화 스타워즈에서 나온 명대사에서 유래한 이스터 에그다. 이외에도 영화 ‘스타트랙’에서 유래한 이스터 에그가 있다. ‘beam me up scotty’를 검색하면 화면이 파란색 레이저와 함께 표시된다.


유튜브에 'use the force, luke'를 입력하면 흔들리는 화면(위)과 'beam me up scotty'를 입력하면 등장하는 파란 레이저 /자료=유튜브
유튜브에 'use the force, luke'를 입력하면 흔들리는 화면(위)과 'beam me up scotty'를 입력하면 등장하는 파란 레이저 /자료=유튜브


무료한 일상 속에서 유니크와 재미를 추구하는 현대 사회인들에게 '이스터 에그'는 순간의 즐거움을 선사하려는 개발자들의 선물임에 틀림없다. 숨겨놓지만 드러나길 바라는 개발자들과 숨은 그림을 찾으려 하는 사용자들의 유쾌한 숨바꼭질은 지금도 계속된다.


☞용어설명

이스터 에그(Easter egg)란 부활절 달걀이라는 뜻으로, 부활절에 삶은 달걀을 주던 것에 생달걀을 섞어 상대방이 생달걀을 깨고 놀라는 모습에 즐거움을 느꼈다고 해서 붙여진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