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해외건설·조선업 부실방지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기획재정부 제공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해외건설·조선업 부실방지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올해만 8조원에 가까운 손실을 낸 조선업계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리한 해외수주’에 있다고 보고 앞으로는 해외수주 프로젝트에 금융지원시 수익성 평가를 의무화 할 방침이다.

이는 그간 조선‧건설사 등이 무리한 해외수주로 몸집만을 불리고 정책금융기관이 이를 방관하던 것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출혈경쟁으로 수익성이 없는 저가 수주나 선수금 비중이 낮아 돈을 떼일 위험이 높은 프로젝트를 걸러내겠다는 것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지난 10일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해 해외건설‧조선업 부실방지를 위한 정책금융기관 역할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그 간 일부 무리한 수주로 인한 해외건설‧조선업계의 부실화 과정에서 정책금융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부실사업으로 인한 정책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는 국민 모두의 부담으로 되돌아온다는 생각을 갖고 부실방지를 위한 근본적 방안을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정책금융기관들은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시 전문기관의 수익성 평가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산업은행과 같은 정책금융지원센터를 확대‧개편하고 이들이 설립한 해양금융종합센터 내에 ‘조선해양사업 정보센터’ 설치를 추진한다.


아울러, 기관별 수익성 악화 방지 T‧F를 설치해 개선방안을 추진 및 점검하고 협력방안을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