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박근혜' 

여당 내에서 금기시해온 개헌론을 친박계 인사가 잇따라 공개적으로 제기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새누리당내 친박계로 통하는 홍문종 의원은 12일 KBS라디오에서 "20대 총선이 끝난 이후에 개헌을 해야 된다는 것이 지금 국회의원들의 생각이고 국민들의 생각이 그렇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이어 "그때는 저희 생각에 이원집정부제, 외치를 하는 대통령과 내치를 하는 총리, 이렇게 하는 것이 현재 말하는 5년 대통령 단임제보다는 훨씬 더 정책의 일관성도 있고 또 국민의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원집정부제란 대통령 중심제와 내각책임제의 절충형태로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돼 평상시에는 외교·국방에 관한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며, 내란·전쟁 등의 비상시에는 국가긴급권에 의거하여 행정전권을 위임하는 역할을 한다.


친박계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을 방문했을 때 반기문 사무총장을 7번이나 만난 것과 맞물린다. 청와대가 반 총장을 띄우려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히 이원집정부제로 개헌을 한다면 외치를 할 대상에 외교부장관과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한 반 사무총장이 적임자라는 의견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편 반 사무총장 지지자 일부는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두고 최근 친반연대라는 이름으로 창당준비위원회 결성 신고서를 제출한 것이 최근 알려지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왼쪽)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사진=뉴시스 제공
박근혜 대통령(왼쪽)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사진=뉴시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