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교육 "수능 사탐, 9월 모평보다 쉽다…현대사 묻는 국사 12번 고난도"
강인귀 기자
2,627
공유하기
교육업체 비상교육은 지난 12일 실시된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4교시 사회탐구영역에 대한 분석자료를 내놓았다.
비상교육은 이번 수능 사회탐구영역 시험은 지난 9월 모의평가보다는 쉽고, 작년 수능과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출제 경향을 보면 2015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핵심 개념의 이해를 묻는 문항과 자료를 분석하는 문항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또한 2016 수능에서 사회탐구 영역 10과목의 평균 EBS 교재 연계 비율은 70.0%였지만, 2015 수능과 마찬가지로 EBS 교재의 내용을 직접 연계한 문항의 비중이 낮았다. 따라서 학생들이 느끼는 EBS 교재의 실제 연계 체감도는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과목별 특이 사항이나 주요 문항은 다음과 같다.
○ [생활과 윤리] 3번: 유전자 조작의 허용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을 골라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한국사] 12번: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설치(1947년)와 6‧25 전쟁(1950년)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을 찾아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한국 지리] 3번: 하천 수위 변화와 퇴적 물질 구성 비율을 나타낸 자료를 통해 한강 상류와 하류의 특성을 파악해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사회‧문화] 20번: 세대별 계층 간 상대적 비율과 계층 이동 결과를 나타낸 자료를 분석해야 하며 이를 통해 답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비상교육은 이번 수능 사회탐구영역 시험은 지난 9월 모의평가보다는 쉽고, 작년 수능과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출제 경향을 보면 2015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핵심 개념의 이해를 묻는 문항과 자료를 분석하는 문항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또한 2016 수능에서 사회탐구 영역 10과목의 평균 EBS 교재 연계 비율은 70.0%였지만, 2015 수능과 마찬가지로 EBS 교재의 내용을 직접 연계한 문항의 비중이 낮았다. 따라서 학생들이 느끼는 EBS 교재의 실제 연계 체감도는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과목별 특이 사항이나 주요 문항은 다음과 같다.
○ [생활과 윤리] 3번: 유전자 조작의 허용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을 골라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한국사] 12번: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설치(1947년)와 6‧25 전쟁(1950년)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을 찾아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한국 지리] 3번: 하천 수위 변화와 퇴적 물질 구성 비율을 나타낸 자료를 통해 한강 상류와 하류의 특성을 파악해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 [사회‧문화] 20번: 세대별 계층 간 상대적 비율과 계층 이동 결과를 나타낸 자료를 분석해야 하며 이를 통해 답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고난도 문항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