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월세 거래량'

서울의 월세 거래량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전·월세에서의 비중이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이 지난 23일 발표한 '서울의 월세 거래 현황은?'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의 월세 거래량은 총 15만4244건이었다.

서울의 월세 거래량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1월부터 10월까지 10만1567건, 같은 기간 2013년 12만3289건, 2014년 13만8609건으로 늘어나 있다. 이는 전세 거래량이 2012년 22만4528건에서 올해 22만1869건으로 제자리 음인 것과 대조적인 움직임이다. 이에 따라 전·월세 거래량에서 월세 비중은 2012년 31.1%에서 올해 41.0%로 40%를 넘어섰다.

우리나라에서 주택을 소유하게 되면 재산세 등 부차적으 내야할 세금이 늘어난다. 또한, 무주택자에게 주어지는 각종 정부 혜택을 포기해야 할 뿐만 니라 유지보수 비용이나 건물 감가상각 등의 지출도 감수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집주인들은 은행이자도 안 나오는 데 전세를 유지할 이유가 없으며, 저금리·저성장 상황에서 전세 물량보다 월세 물량이 많아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다.


이 상황에서 정부가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를 늦추고, 주거 안정이 필요한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 대책을 통해 주택시장의 건전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 경제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