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등재 대상 확정, 등재 중인 세계기록유산은?
강인귀 기자
4,570
공유하기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분과위원장 이상해)는 지난 25일 개최된 세계유산분과회의에서 문화재청이 내년 3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할 기록물로'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과'국채보상운동기록물'을 선정하기로 심의 의결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세계적 영향력이 있는 인류의 중요한 기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으로 문자로 기록된 것(책, 필사본, 포스터 등), 이미지나 기호로 기록된 것(데생, 지도, 악보, 설계도면 등), 시청각 자료(음악 컬렉션, 영화, 음성기록물, 사진 등) 등이 해당된다.
![]() |
▲유네스코 등재 대상 확정, 사진은 조선왕실의 어보와 보문 |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13건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미지제공=문화재청>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현황
훈민정음(등재일자 97.10.1)
1446년 음력 9월 간행된 1책의 목판본으로 세종대왕의 공포문과 집현전 학자들의 해설 및 해례 포함
조선왕조실록 (등재일자 97.10.1)
조선을 개국한 태조부터 철종까지의 470여 년간의 왕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물
승정원 일기(등재일자 01.9.4)
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에서 매일 작성한 일기로 국왕의 하루 일과와 지시, 명령, 각 부처의 보고, 국정회의 상소사료들을 총망라하고 있음
화재로 소실된 부분을 제외하고 1623∼1910년까지 3천2백43책, 2억4천2백50만자의 방대한 기록물임
직지심체요절(등재일자 01.9.4)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선의 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역대 불조사들의 어록 중 중요한 대목을 초록한 책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인 주자로 찍어낸 것으로 상하 2권중 하권이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등재일자 07.6.14)
1237년~1248년 경판 81,258장에 판각한 가장 완전한 형태의 불교 경전집.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장경판전에 소장되어 있음
조선왕조의궤(등재일자 07.6.14)
조선왕조(1392년~1910년)의 왕실 행사가 글과 그림으로 기록된 독특한 기록유산. 거의 4천권으로 구성
동의보감(등재일자 09.7.31)
17세기 초에 왕명에 따라 발간된 의학 백과사전으로, 동양의학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고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개념도 소개됨
일성록(등재일자 11.5.25)
조선 22대 임금 정조가 쓴 일기 형식의 기록으로, 재위에 오르기 전에는 일상생활과 학문, 재위에 오른 후에는 정사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음
전 근대 시기 왕이 자신의 통치와 미래 국정운영에 대한 생각을 담은 보기 드문 기록물
5‧18 관련 기록물(등재일자 11.5.25)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 민주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5․18 민주화운동(1980년 5월 18~27일)에 관한 문서, 사진, 영상물, 피해자 보상 등의 관한 기록물 모음
난중일기(등재일자 13.6.18)
임진왜란(1592년~1598년) 중 당시 해군 사령관 이순신(1545~1598)이 군중에서 직접 쓴 일기.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 등 친필본 7책으로 구성, 국보76호
새마을운동기록물(등재일자 13.6.18)
개발도상국 발전 모델로서 UN에서 빈곤 퇴치 및 농촌 개발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아 아프리카 및 아시아 등 저개발국에서 배우고 있는 새마을운동(1970년~79년)에 관한 정부 및 민간 문서와 관련 사진, 영상물 등 기록물 모음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등재일자 15.10.9)
KBS가 1983년 453시간 45분 동안 생방송한 비디오 녹화원본 테이프 463개와 담당 프로듀서 업무수첩, 이산가족이 직접 작성한 신청서, 일일 방송진행표, 큐시트, 기념음반, 사진 등 20,522건의 기록물로 우리나라의 비극적인 냉전상황과 분단으로 인한 이산의 아픔이 고스란히 담긴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 (등재일자 15.10.9)
조선시대 유교이념을 발전시키기 위해 민간에서 제작·보존해 온 것으로 15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저술을 출간할 때 사용한 책판임. 305개 문중에서 기탁한 718종 64,226장으로 구성됨
훈민정음(등재일자 97.10.1)
1446년 음력 9월 간행된 1책의 목판본으로 세종대왕의 공포문과 집현전 학자들의 해설 및 해례 포함
조선왕조실록 (등재일자 97.10.1)
조선을 개국한 태조부터 철종까지의 470여 년간의 왕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물
승정원 일기(등재일자 01.9.4)
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에서 매일 작성한 일기로 국왕의 하루 일과와 지시, 명령, 각 부처의 보고, 국정회의 상소사료들을 총망라하고 있음
화재로 소실된 부분을 제외하고 1623∼1910년까지 3천2백43책, 2억4천2백50만자의 방대한 기록물임
직지심체요절(등재일자 01.9.4)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선의 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역대 불조사들의 어록 중 중요한 대목을 초록한 책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인 주자로 찍어낸 것으로 상하 2권중 하권이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등재일자 07.6.14)
1237년~1248년 경판 81,258장에 판각한 가장 완전한 형태의 불교 경전집.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장경판전에 소장되어 있음
조선왕조의궤(등재일자 07.6.14)
조선왕조(1392년~1910년)의 왕실 행사가 글과 그림으로 기록된 독특한 기록유산. 거의 4천권으로 구성
동의보감(등재일자 09.7.31)
17세기 초에 왕명에 따라 발간된 의학 백과사전으로, 동양의학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고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개념도 소개됨
일성록(등재일자 11.5.25)
조선 22대 임금 정조가 쓴 일기 형식의 기록으로, 재위에 오르기 전에는 일상생활과 학문, 재위에 오른 후에는 정사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음
전 근대 시기 왕이 자신의 통치와 미래 국정운영에 대한 생각을 담은 보기 드문 기록물
5‧18 관련 기록물(등재일자 11.5.25)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 민주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5․18 민주화운동(1980년 5월 18~27일)에 관한 문서, 사진, 영상물, 피해자 보상 등의 관한 기록물 모음
난중일기(등재일자 13.6.18)
임진왜란(1592년~1598년) 중 당시 해군 사령관 이순신(1545~1598)이 군중에서 직접 쓴 일기.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 등 친필본 7책으로 구성, 국보76호
새마을운동기록물(등재일자 13.6.18)
개발도상국 발전 모델로서 UN에서 빈곤 퇴치 및 농촌 개발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아 아프리카 및 아시아 등 저개발국에서 배우고 있는 새마을운동(1970년~79년)에 관한 정부 및 민간 문서와 관련 사진, 영상물 등 기록물 모음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등재일자 15.10.9)
KBS가 1983년 453시간 45분 동안 생방송한 비디오 녹화원본 테이프 463개와 담당 프로듀서 업무수첩, 이산가족이 직접 작성한 신청서, 일일 방송진행표, 큐시트, 기념음반, 사진 등 20,522건의 기록물로 우리나라의 비극적인 냉전상황과 분단으로 인한 이산의 아픔이 고스란히 담긴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 (등재일자 15.10.9)
조선시대 유교이념을 발전시키기 위해 민간에서 제작·보존해 온 것으로 15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저술을 출간할 때 사용한 책판임. 305개 문중에서 기탁한 718종 64,226장으로 구성됨
<이미지제공=문화재청>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