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교통문화지수 상승했다는데… 체감은 '후진'
김수정 기자
1,588
공유하기
'올해 교통문화지수'
교통문화지수는 78.75점으로 지난해보다 2.05점 상승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교통문화지수는 전국 299개 시·군·구별 국민의 안전띠 착용률과 신호준수율 등 4개 영역·11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다.
올해 교통문화지수 세부 항목을 보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점유율이 지난해 41.56%에서 올해 31.28%로 10.28%포인트 향상됐고, 오토바이 안전모 착용률도 올해 87.54%로, 지난해보다 9.56%포인트 나아졌다. 반면 스쿨존 불법주차 점유율은 11.60%에서 13.36%로 1.76%포인트 나빠졌다.
기타항목 조사에서는 고속도로 안전띠 착용률이 지난해 81.72%에서 올해 79.92%로 1.8%포인트 줄었지만 고속도로 유아용 카시트 사용률은 30%에서 45.05%로 15.05%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율은 8.60%에서 6.38%로 개선됐으나 운전 중 DMB시청률은 2.56%에서 6.98%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문화지수는 78.75점으로 지난해보다 2.05점 상승했다.
국민의 교통안전 의식을 지수화한 올해의 교통문화지수가 지난해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6일 올해 전체 교통문화지수는 78.75점으로 지난 2014년 76.7점에 비해 상승(2.05)하는 등 2015년의 교통문화 수준이 비교적 향상됐다고 밝혔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교통문화지수는 전국 299개 시·군·구별 국민의 안전띠 착용률과 신호준수율 등 4개 영역·11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다.
올해 교통문화지수 세부 항목을 보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점유율이 지난해 41.56%에서 올해 31.28%로 10.28%포인트 향상됐고, 오토바이 안전모 착용률도 올해 87.54%로, 지난해보다 9.56%포인트 나아졌다. 반면 스쿨존 불법주차 점유율은 11.60%에서 13.36%로 1.76%포인트 나빠졌다.
기타항목 조사에서는 고속도로 안전띠 착용률이 지난해 81.72%에서 올해 79.92%로 1.8%포인트 줄었지만 고속도로 유아용 카시트 사용률은 30%에서 45.05%로 15.05%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율은 8.60%에서 6.38%로 개선됐으나 운전 중 DMB시청률은 2.56%에서 6.98%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