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계수 상승, 양극화 심화로 불평등 높아졌다
김수정 기자
4,139
공유하기
'지니계수 상승'
양극화 현상에 따른 불평등이 전반적으로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5년 빈곤통계연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 지출 모두 정체되거나 나빠졌다.
이탈리아 통계·사회학자인 지니가 만든 지니계수는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이다. 0(완전 평등)과 1(완전 불평등)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는 의미다.
2014년 지니계수는 시장소득 기준 0.331로 전년대비 0.003 상승했다.
가처분 소득(총소득에서 조세 및 사회보장 분담금을 제외한 소득)을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는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8년 0.305까지 치솟았다가 2013년 0.294로 낮아졌다. 하지만 2014년에도 0.294로 같았다.
소비지출 기준의 지니계수는 2009년 0.266으로 정점에 올랐다가 2010년 0.256, 2011년 0.246, 2012년 0.249 등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이후 2013년 0.254로 다시 올랐고 2014년에는 0.262로 2009년 수준으로 높아졌다.
양극화 현상에 따른 불평등이 전반적으로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5년 빈곤통계연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 지출 모두 정체되거나 나빠졌다.
이탈리아 통계·사회학자인 지니가 만든 지니계수는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이다. 0(완전 평등)과 1(완전 불평등)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는 의미다.
2014년 지니계수는 시장소득 기준 0.331로 전년대비 0.003 상승했다.
가처분 소득(총소득에서 조세 및 사회보장 분담금을 제외한 소득)을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는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8년 0.305까지 치솟았다가 2013년 0.294로 낮아졌다. 하지만 2014년에도 0.294로 같았다.
소비지출 기준의 지니계수는 2009년 0.266으로 정점에 올랐다가 2010년 0.256, 2011년 0.246, 2012년 0.249 등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이후 2013년 0.254로 다시 올랐고 2014년에는 0.262로 2009년 수준으로 높아졌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