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노후자금, 자녀 양육비 부담에 절반도 못 모아
성동규 기자
6,179
공유하기
![]() |
월평균 노후자금. 자료제공=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월평균 노후자금이 평균 226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문제는 실제 준비해 놓은 돈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특히 자녀 양육 부담이 노후준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올 7월 25~59세 전국 성인남녀 29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2015 한국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 보고서를 살펴보면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226만원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그러나 현재 보유한 금융자산, 저축액,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평균 예상 준비자금은 월110만원이었다. 이는 은퇴 후 필요한 돈의 48% 정도밖에 준비하지 못한 셈이다.
가구 형태별로 보면 독신가구는 월평균 필요자금(140만원)의 64%(89만원), 기혼 부부의 경우 필요자금(249만원)의 45%(112만원)가 준비될 것으로 추정됐다.
자녀가 없는 부부는 월평균 필요자금(221만원)의 63%(140만원)이 자녀가 있는 부부는 월평균 필요자금(252만원)의 43%(109만원)가 충당될 것으로 나타나 다른 유형과 비교해 노후 준비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직업별로는 공무원 대비 자영업자의 노후준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준공무원 가구는 노후 준비자금 중 공적·퇴직연금에서 충당될 비중이 절반이 넘는 54.7%지만 자영업 가구는 33.3%에 불과했다.
자영업 가구는 다른 직업군과 비교해 주택연금이나 부동산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