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 조난 사고 원인은 ‘준비 부족과 폭설’
서대웅 기자
9,953
공유하기
‘덕유산 조난’
경남 거창군 덕유산에서 1명이 숨지고, 3명이 부상을 당한 조난 사고는 준비가 부족한 무리한 산행과 폭설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조난 당일인 16일 밤 덕유산 상층부에 내리기 시작한 눈이 폭설로 바뀌어 1m 가량 쌓이는 등 구조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일부 소방대원들도 탈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거창소방서에 따르면, 16일 오후 6시9분쯤 덕유산 지봉헬기장 인근에서 등산객 27명이 조난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조대 29명은 신고가 접수된 후 덕유산 일대에서 12시간가량 구조작전을 펼쳤다.
등반객들은 16일 오전부터 신풍령-횡경재-송계사의 가파른 코스로 등산에 나섰으며, 덕유산 상층부에 눈발이 날리고 주위가 어두워지자 조난신고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대원들은 등반 시작지점에서 4.6km 떨어진 지봉에 신고를 받은 지 4시간 30분만인 밤 10시 40분쯤 조난자들을 발견했다. 이후 17일 오전 3시10분쯤 선착대가 첫 구조에 성공했으며, 오전 6시8분쯤 구조를 완료했다.
소방서 관계자는 “저녁에 하산을 하려고 했는데, 예상 못한 폭설이 내렸고 랜턴 등 야간 장비도 준비하지 않은 채 등산에 나섰다가 결국 구조 요청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 거창군 덕유산에서 1명이 숨지고, 3명이 부상을 당한 조난 사고는 준비가 부족한 무리한 산행과 폭설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조난 당일인 16일 밤 덕유산 상층부에 내리기 시작한 눈이 폭설로 바뀌어 1m 가량 쌓이는 등 구조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일부 소방대원들도 탈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거창소방서에 따르면, 16일 오후 6시9분쯤 덕유산 지봉헬기장 인근에서 등산객 27명이 조난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조대 29명은 신고가 접수된 후 덕유산 일대에서 12시간가량 구조작전을 펼쳤다.
등반객들은 16일 오전부터 신풍령-횡경재-송계사의 가파른 코스로 등산에 나섰으며, 덕유산 상층부에 눈발이 날리고 주위가 어두워지자 조난신고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대원들은 등반 시작지점에서 4.6km 떨어진 지봉에 신고를 받은 지 4시간 30분만인 밤 10시 40분쯤 조난자들을 발견했다. 이후 17일 오전 3시10분쯤 선착대가 첫 구조에 성공했으며, 오전 6시8분쯤 구조를 완료했다.
소방서 관계자는 “저녁에 하산을 하려고 했는데, 예상 못한 폭설이 내렸고 랜턴 등 야간 장비도 준비하지 않은 채 등산에 나섰다가 결국 구조 요청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
‘덕유산 조난’ 16일 오후 6시9분쯤 경남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덕유산 지봉헬기장 인근에서 부산 모 산악회 소속 회원 27명이 조난되어 12시간만인 17일 오전 6시쯤 구조됐다. /자료=뉴스1(거창소방서 제공)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