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용무도' 대학교수가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
오문영 기자
4,139
공유하기
![]() |
'혼용무도' 올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혼용무도'가 선정됐다. /사진=뉴스1(교수신문 제공) |
'혼용무도'
나라 상황이 마치 암흑에 뒤덮인 것처럼 온통 어지럽다는 의미의 '혼용무도(昏庸無道(혼용무도)'가 대학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교수신문은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전국의 대학교수 8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절반이 넘는 524명(59.2%)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혼용무도'를 선택했다고 20일 밝혔다.
혼용무도는 '논어(論語)'의 '천하무도(天下無道)'에서 유래했다. '혼용'은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를 가리키는 혼군과 용군을 합친 말이다. '무도'는 사람이 걸어야 할 정상적인 궤도가 붕괴된 야만의 상태를 의미한다.
즉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의 실정으로 나라 전체의 예법과 도의가 송두리째 무너져버린 상태를 말한다.
혼용무도 다음으로는 많은 교수들이 선택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사시이비(似是而非)'로, 모두 127명(14.3%)이 선택했다. '갈택이어(竭澤而漁)'는 121명(13.65)의 지지를 받아 3위에 올랐다.
사시이비는 겉은 옳은 것 같으나 속은 다르다는 뜻이다. 겉보기에는 그럴듯하나 사실은 틀린 경우에 쓰는 말이다.
갈택이어는 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어 고기를 잡는다는 말로, 목전의 이익에만 관심을 두는 세태를 꼬집는 의미다. '위여누란(危如累卵)'은 달걀을 쌓은 것 같이 위태로운 형태라는 뜻의 '위여누란(危如累卵)'은 58명(6.5%)이 선택해 4위에 올랐고, 판단력이 둔하여 융통성이 없고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의미인 '각주구검(刻舟求劍)'은 56명(6.4%)이 선택해 5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