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오피스텔·원룸 관리비 주민 30% 이상 동의하면 감독한다
김수정 기자
3,759
공유하기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
서울시가 행정 사각지대에 놓인 오피스텔과 원룸의 관리 기준을 지자체 최초로 마련했다.
서울시는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이달 중 배포한다고 30일 밝혔다.
오피스텔과 원룸은 아파트와 달리 '주택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관리비 조사·감독의 법적 근거가 없었다. 시는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을 각 관리사무소 등에 배포해 관리비 갈등 등 임대차 분쟁을 예방하고 세입자의 권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은 ▲불투명한 오피스텔 관리비 운영 ▲과다한 관리비 부풀리기 등 관리인-입주민간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임차인 거주 비율이 높은 특성을 감안해 임차인 권리 조항을 신설했다.
특히 관리 분쟁 등에 대해 주민들이 조사나 감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민 30% 이상의 동의를 받아 지자체장에게 감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은 원룸 관리비에 대한 합리적 기준을 명시해 세입자가 집주인과 관리비를 협의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가이드라인에는 ▲세입자가 내지 않아도 될 관리비 항목(보험료·회계감사비 등) ▲자주 발생하는 갈등 유형과 대처법 ▲표준주택임대차계약서(안) 등이 담겼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서 1인가구 관리비 분쟁이 예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집합건물 관리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시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행정 사각지대에 놓인 오피스텔과 원룸의 관리 기준을 지자체 최초로 마련했다.
서울시는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이달 중 배포한다고 30일 밝혔다.
오피스텔과 원룸은 아파트와 달리 '주택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관리비 조사·감독의 법적 근거가 없었다. 시는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을 각 관리사무소 등에 배포해 관리비 갈등 등 임대차 분쟁을 예방하고 세입자의 권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은 ▲불투명한 오피스텔 관리비 운영 ▲과다한 관리비 부풀리기 등 관리인-입주민간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임차인 거주 비율이 높은 특성을 감안해 임차인 권리 조항을 신설했다.
특히 관리 분쟁 등에 대해 주민들이 조사나 감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민 30% 이상의 동의를 받아 지자체장에게 감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원룸 관리비 대응 가이드라인'은 원룸 관리비에 대한 합리적 기준을 명시해 세입자가 집주인과 관리비를 협의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가이드라인에는 ▲세입자가 내지 않아도 될 관리비 항목(보험료·회계감사비 등) ▲자주 발생하는 갈등 유형과 대처법 ▲표준주택임대차계약서(안) 등이 담겼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오피스텔 표준관리규약'과 '원룸 관리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서 1인가구 관리비 분쟁이 예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집합건물 관리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시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가겠다"고 말했다.
![]() |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