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신학용'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신학용 의원(인천 계양구갑)이 당분간 무소속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신 의원은 20일 당분간 무소속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국민의당에 대한 비난이 도가 넘친다. 사실 (안철수 의원의) 10원칙은 국회의원의 공천권을 못 갖게 하기 위해 발표한 것인데, 저(처럼) 기소된 사람이 무슨 공천을 신청하겠느냐"며 "현역 의원이 기소됐을 때 당원권부터 정지하고 공천권도 당연히 배제하는 게 (안 의원의) 논의"라고 말했다고 뉴스1이 전했다.

신 의원은 또 언론보도의 형평성을 문제 삼으며 "저는 기득권을 버리고 불출마선언까지 했는데 공천원칙에 위배된다고 (비판)하면서, 나와 대비돼 실제 유죄판결을 받고 뇌물죄로 (감옥에) 다녀온 사람은 아무 비판을 않고 있다"고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선대위원장을 겨냥했다.


한편 국민의당 창당준비위원회도 더민주 김 선대위원장에 대해 집중 공세에 나섰다. 특히 김 위원장이 전두환 정권 당시 구성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한 전력을 집중 부각시켰다. 이는 김 위원장 영입과 문재인 대표의 사퇴 선언과 맞물려 탈당 흐름과 신당에 대한 호남 여론의 상승세가 주춤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영환 전략위원장(경기 안산시상록구을)은 이날 YTN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김종인 위원장은 제가 민주당에서 비례대표로 추천했던 분이고, 경제민주화의 상징적인 분"이라면서도 "그런데 이 분의 정체성이나 체질이 현재의 더민주와 전혀 맞지 않다. 60년 정통 야당의 법통을 가진 전권 비대위원장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김 위원장의 과거 전두환 정권 당시 국보위 참여 전력을 거론, "국보위라는 것은 1980년 5월31일 시작됐는데, (그해) 5월17일부터 27일까지 광주 학살이 진행됐다. 김대중 대통령이 7월말에 내란선동과 소요죄로 기소돼 9월17일에 사형선고를 받았다"며 "그 같은 시기에 국보위에 참여했기 때문에 60년 야당의 정통성을 가진 곳에 대표가 돼 5·18 묘역을 참배하기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신학용' 신학용 국회의원. /자료사진=뉴스1
'국민의당 신학용' 신학용 국회의원.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