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막바지, 면역력 강화와 피부 건선 치료에는 숙면이 가장 좋은 방법
장경석 기자
1,937
공유하기
![]() |
건선피부염은 체내 면역력 약화로 인한 이상 반응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피부에 하얀 비듬 같은 인설을 동반한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피부 질환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피부 건선은 무릎과 팔꿈치의 좁쌀 같은 발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이 심해질 경우 엉덩이, 두피, 손, 발 등 온몸에서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건선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 난치성 피부질환으로, 일반적으로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여름에 호전되고 겨울에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강남동약한의원 이기훈 박사는 “겨울이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지만, 아직은 추위가 완전히 물러가지 않았다. 또 봄이 온다 해도 종종 다가올 꽃샘 추위를 생각하면 어느 때보다 면역력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저하된 면역력은 피부 건선에 악영향을 주기에 충분하다. 건선은 붉은 발진과 함께 ‘인설’이라고 불리는 하얀 비늘과 같은 각질이 생기며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피부 병변이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리적 위축, 대인기피증 등의 문제를 유발하는 등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과 우울감이 커 삶의 질도 크게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강남동약한의원 양지은 원장은 “날씨가 춥고 건조할수록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워 바이러스성 질환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감기나 장염에 걸리기도 쉽다. 건선피부염의 경우 바이러스성 질환을 앓게 되면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소아 청소년의 경우 고열 감기나 편도염 등 호흡기계 질환 이후에 처음으로 건선이 나타나는 사례도 많다”며 “건선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선 보온에 유의하고, 틈틈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기와 피부의 보습을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필요가 있는데 춥고 건조한 바깥 날씨에 온풍 난방으로 심하게 건조해지는 실내 공기까지 겹치면 피부도 호흡기도 바짝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시로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한편 체내 수분을 앗아가는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많은 건선 환자가 목욕 이후 특히 건조함을 많이 느끼고 일시적으로 가려움 또한 심해지기 때문에 목욕 직후 자신에게 맞는 순한 보습제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양지은 원장은 “몸 속의 체액을 충분히 유지하고,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숙면”이라며 “특히 몸 상태가 좋지 않거나 추위에 많이 노출됐을 때, 피부가 유독 건조하거나 건선 부위에 열이 나는 등 악화되는 느낌이 있을 때는 일찍 잠자리에 들어 푹 자는 것이 좋다. 숙면과 충분한 수분 섭취는 감기 예방에도, 피부 건선의 예방과 악화 방지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기훈 박사 는 “건선이 난치 또는 불치병이라는 생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다만 건선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료기관을 찾아 치료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만성화 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며 “과로나 수면부족, 불면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가 건선의 원인이라면 숙면을 통해 이를 우선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면 시간만큼 중요한 것은 수면의 질이라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사진. 강남동약한의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경석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