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인 줄 알았는데 ‘천장관절증후군’…"골반까지 아파요"
강인귀 기자
10,283
공유하기
![]() |
허리 통증이 만성화된 환자의 약 30% 정도가 발병할 수 있지만 초기에 허리 통증이 느껴지므로 디스크와 혼동하기도하고 , X-ray나 MRI 등 여러 가지 정밀검사에서도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천장관절증후군은 주로 교통사고나 추락 등 외상에 의해 발병되는 경우가 많은데 골프나 피겨스케이트 등 한쪽 방향으로 힘이 실리는 운동을 하게 되면 척추 균형이 깨져 천장관절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통증이 한쪽 골반 부위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골반에 충격을 받게 되면 천장관절 주위의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져 관절의 안정성이 무너지게 되고 아무리 젊은 나이라도 증상이 심한 경우 천장관절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할 수도 있는 것.
동탄시티병원 척추센터 신재흥 병원장은 “천장관절증후군 증상은 아침에 기상 시 통증이 가장 심한 특징을 보이는데 오래된 경우 다리까지 저릴 수 있어 디스크에 의한 통증과 구별이 쉽지 않아 전문의를 통한 정밀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증상이 악화되면 좌골신경과 관련된 대퇴부에서 종아리, 발까지 통증 범위가 확산돼 좌골신경통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초기에는 휴식 및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약물과 물리치료, 주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요법을 진행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고관절을 강화하는 근력 운동과 골반 교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도 방법이다. 통증의 범위나 증세가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의자에 걸터앉거나 다리를 꼬는 등 나쁜 자세는 골반을 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평소 허리 통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물건을 들 때 허리를 구부리는 행동은 허리와 골반에 무리를 가하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신원장은 “관절과 관련된 모든 질환은 근육이 약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을 키우고 고관절을 강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천장관절증후군 환자의 경우 가벼운 윗몸 일으키기, 수영, 걷기 운동 등이 도움 되지만 미세한 통증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병원을 찾아 원인을 찾고 치료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