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증가율, 또 '서구화된 식습관' 때문?… 증상 및 건보 적용 어떻게 되나
김수정 기자
3,739
공유하기
희귀성 난치병 '크론병' 환자 절반은 20~30대 젊은층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11~2015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환자 수는 1만8332명으로 2011년과 비교해 4000명 가량(31.7%) 늘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매년 평균 환자가 7.1%씩 증가한 셈이다.
식도, 위, 소장과 대장, 항문에 이르기까지 위장관 전체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크론병'은 가수 윤종신 씨가 앓고 있는 질환으로도 유명하다.
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령별 크론병 환자 수는 20대(29.3%), 30대(21.4%), 10대(14.5%) 등의 순으로 2명 중 한 명(50.7%)은 20~30대 젊은층이었다. 같은 기간 남성(1만2175명)이 여성(6157명)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남성의 20대는 21.5%, 30대는 15.4%로 전체 환자 3명 중 한 명 이상(36.9%)은 젊은 20~30대 남성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크론병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생활환경이 서구화되는 것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크론병은 증상의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설사와 복통, 열,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합병증으로 농양(고름)과 누공(작은 구멍), 장폐쇄나 협착, 항문 주위 치루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완치가 어렵고 이환 및 합병증으로 고통을 겪는다. 약물치료나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종철 심평원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은 "크론병은 희귀난치 질환 중 많이 알려진 질병이지만 증상이 보통의 장 질환들과 비슷해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며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관절, 피부, 눈 등에 이상이 동반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크론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검사나 혈액검사, 대변 내 균배양검사, 내시경 검사, 장 투시 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 여러 검사를 거쳐야 한다. 크론병은 희귀 난치질환 산정 특례 대상으로 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 진료를 받으면 진료비의 10%만 부담하면 된다.
식도, 위, 소장과 대장, 항문에 이르기까지 위장관 전체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크론병'은 가수 윤종신 씨가 앓고 있는 질환으로도 유명하다.
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령별 크론병 환자 수는 20대(29.3%), 30대(21.4%), 10대(14.5%) 등의 순으로 2명 중 한 명(50.7%)은 20~30대 젊은층이었다. 같은 기간 남성(1만2175명)이 여성(6157명)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남성의 20대는 21.5%, 30대는 15.4%로 전체 환자 3명 중 한 명 이상(36.9%)은 젊은 20~30대 남성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크론병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생활환경이 서구화되는 것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크론병은 증상의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설사와 복통, 열,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합병증으로 농양(고름)과 누공(작은 구멍), 장폐쇄나 협착, 항문 주위 치루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완치가 어렵고 이환 및 합병증으로 고통을 겪는다. 약물치료나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종철 심평원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은 "크론병은 희귀난치 질환 중 많이 알려진 질병이지만 증상이 보통의 장 질환들과 비슷해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며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관절, 피부, 눈 등에 이상이 동반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크론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검사나 혈액검사, 대변 내 균배양검사, 내시경 검사, 장 투시 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 여러 검사를 거쳐야 한다. 크론병은 희귀 난치질환 산정 특례 대상으로 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 진료를 받으면 진료비의 10%만 부담하면 된다.
![]() |
크론가족사랑회 회원들이 지난 2014년 4월 서울 건대입구역 에서 염증성 장질환 환우들의 화장실 배려 문화 촉구를 위한 댄스 플래시몹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