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바쁜 '야권 통합', 김한길-안철수 정면충돌
김수정 기자
2,101
공유하기
국민의당 지도부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제안한 야권 통합 문제를 놓고 7일 공개적으로 정면 충돌했다.
김한길 상임 선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 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를 겨냥, "우리 당이 교섭단체 이상의 의석만 확보한다면 여당이 개헌선을 넘든 말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정치하면 안된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야권이 개헌 저지선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여당이 개헌선을 넘어설 때 이 나라와 국민이 감당해야 할 끔찍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야권이 개헌 저지선 이상을 지키는 일은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지키는 일"이라며 "우리 당만 생각하는 정치가 아니라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책임지는 정치를 해야 한다. 여당이 180석 이상을 확보한다면 캐스팅보트니 뭐니 하는 것이 다 무용지물이 되고 국회는 식물국회가 될텐데 그 때 교섭단체라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자신의 의사를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안 대표가 말씀하신 대로 통합적 국민 저항 체제가 꼭 필요한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며 "현 집권세력의 확장성을 저지해야 한다는 대원칙에도 우리 모두가 충실해야 하지 않겠느냐. 집권세력의 개헌선 확보를 막기 위해서라면 우리당은 '광야에서 죽어도 좋다'는 비장한 각오로 이번 총선에 임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안 대표는 "저희들의 목표는 기존의 거대 양당 구조를 깨는 일"이라며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을 저는 믿는다. 이런 퇴행적인 새누리당 개헌 저지선이 무너지는 그런 결과를 국민께서 주시지는 않을 거라고 믿는다"라고 반박했다.
안 대표는 이어 "무조건 통합으로는 이기지 못한다"며 "이미 익숙한 실패의 길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한다. 정권교체 가능성을 높이고 잃어버린 그런 낡은 야권을 재구성할 때이다"라고 설명했다.
김한길 상임 선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 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를 겨냥, "우리 당이 교섭단체 이상의 의석만 확보한다면 여당이 개헌선을 넘든 말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정치하면 안된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야권이 개헌 저지선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여당이 개헌선을 넘어설 때 이 나라와 국민이 감당해야 할 끔찍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야권이 개헌 저지선 이상을 지키는 일은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지키는 일"이라며 "우리 당만 생각하는 정치가 아니라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책임지는 정치를 해야 한다. 여당이 180석 이상을 확보한다면 캐스팅보트니 뭐니 하는 것이 다 무용지물이 되고 국회는 식물국회가 될텐데 그 때 교섭단체라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자신의 의사를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안 대표가 말씀하신 대로 통합적 국민 저항 체제가 꼭 필요한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며 "현 집권세력의 확장성을 저지해야 한다는 대원칙에도 우리 모두가 충실해야 하지 않겠느냐. 집권세력의 개헌선 확보를 막기 위해서라면 우리당은 '광야에서 죽어도 좋다'는 비장한 각오로 이번 총선에 임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안 대표는 "저희들의 목표는 기존의 거대 양당 구조를 깨는 일"이라며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을 저는 믿는다. 이런 퇴행적인 새누리당 개헌 저지선이 무너지는 그런 결과를 국민께서 주시지는 않을 거라고 믿는다"라고 반박했다.
안 대표는 이어 "무조건 통합으로는 이기지 못한다"며 "이미 익숙한 실패의 길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한다. 정권교체 가능성을 높이고 잃어버린 그런 낡은 야권을 재구성할 때이다"라고 설명했다.
![]() |
김한길 국민의당 상임 선대위원장(왼쪽)과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 공동대표.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