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위크DB
/사진=머니위크DB
정부가 아파트 관리의 비리를 밝혀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공동주택 전체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국무조정실 정부합동의 아파트 외부회계감사와 관련 공동주택의 주민 대표 등 봉사자에 대한 인식이 왜곡되고 있음을 우려했다.


이번 발표에서 정부는 제도 개선 사항과 함께 민원이나 분쟁, 수사 등 비리 사실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협회는 시정명령 및 과태료 부과 대상의 업무상 과실과 금품수수, 횡령 등의 범죄사실이 혼동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대다수의 주민 대표가 봉사정신에 입각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고 있는 상황에서 업무상 과실로 인해 비리 집단으로 오해받는 것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외부회계감사 결과 8319개 아파트단지 중 1610개(19.4%)에서 비적정 의견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중 금품수수나 횡령 등의 범죄 의심 행위는 29건으로 비적정 의견의 2.5%를 차지했다.

협회는 공동주택에 통일적으로 적용하는 회계처리기준이 없고 지역별로 다른 회계처리기준에 따라 결산서를 작성했기 때문에 이번 감사에서 현행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을 기준으로 감사한 결과는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단 경찰 수사와 관련한 99건에 대해서는 범죄사실 적발과 강력한 처벌이 이뤄지도록 적극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송영환 협회 홍보협력국장은 "공동주택 관리제도의 정착은 비단 관련 종사자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기에 국민과 언론의 격려를 부탁드린다. 공동주택 관리제도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