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IoT 놀이터’로 신산업 모델 개척
허주열 기자
3,883
공유하기
SK텔레콤이 미래창조과학부의 IoT(사물인터넷) 신산업 활성화 관련 정책 발표를 계기로 IoT 전용 전국망 구축, IoT 전용 모듈 개발 등을 포함한 ‘IoT Total Care 프로그램’을 16일 발표했다.
해당 프로그램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연내 IoT 전용 전국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빠른 속도를 보장하지만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기존의 네트워크와는 달리 LPWA(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미래 IoT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IoT 유망 벤처와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해 IoT 서비스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IoT서비스 활성화 지원 펀드’를 조성·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단순한 월정액 방식의 모델을 넘어서는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벤처 및 스타트업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월정액을 받던 통신산업의 패러다임을 넘어 통신사업자는 고객이 아닌 디바이스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 등 소위 ‘공급자’에게 사용료를 받는 구조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SK텔레콤은 IoT Total Care 프로그램 내용에 ▲IoT 통합 관제센터 개설 ▲IoT 단말기에 탑재하는 전용 모듈 개발·공급 ▲개방형 IoT 플랫폼인 ‘ThingPlug’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형희 SK텔레콤 사업총괄은 “기존의 통신산업 패러다임만으로는 다가올 IoT 시대에 생존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국내 벤처와 스타트업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를 제공한다는 데 이번 프로그램의 의의가 있다”며 “기존 패러다임을 뛰어 넘는 새로운 접근 방식들이 IoT 기반 융복합 신산업 개척에 일조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연내 IoT 전용 전국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빠른 속도를 보장하지만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기존의 네트워크와는 달리 LPWA(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미래 IoT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IoT 유망 벤처와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해 IoT 서비스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IoT서비스 활성화 지원 펀드’를 조성·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단순한 월정액 방식의 모델을 넘어서는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벤처 및 스타트업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월정액을 받던 통신산업의 패러다임을 넘어 통신사업자는 고객이 아닌 디바이스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 등 소위 ‘공급자’에게 사용료를 받는 구조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SK텔레콤은 IoT Total Care 프로그램 내용에 ▲IoT 통합 관제센터 개설 ▲IoT 단말기에 탑재하는 전용 모듈 개발·공급 ▲개방형 IoT 플랫폼인 ‘ThingPlug’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형희 SK텔레콤 사업총괄은 “기존의 통신산업 패러다임만으로는 다가올 IoT 시대에 생존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국내 벤처와 스타트업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를 제공한다는 데 이번 프로그램의 의의가 있다”며 “기존 패러다임을 뛰어 넘는 새로운 접근 방식들이 IoT 기반 융복합 신산업 개척에 일조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공공부문 서비스 적용 예시.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