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식중독균, 생식채소류서 검출 확률 가장 높아… 시중 유통 1.2%에서 확인
김수정 기자
5,771
공유하기
시중에 유통 중인 농산물의 1.2%에서 식중독균이 우려할 수준으로 검출됐다. 식중독균 검출 확률은 신선농산물에서 가장 높았고, 가축매몰 지역의 농산물, 세척과 건조 등의 단순처리 농산물 순으로 조사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농산물 1101건을 대상으로 오염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6일 밝혔다.
농산물 및 세척용수 1101건 중 13건(1.2%)의 농산물에서 식중독균 7종이 우려할 수준으로 높게 나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생식채소류가 1.5%로 가장 높았고, 가축매몰지역 농산물 1%, 단순처리 농산물 0.9%에서 식중독균이 우려할 수준으로 검출됐다.
단순처리 농산물의 경우 깐양파, 절단 양배추처럼 껍질을 깎거나 절단 등의 처리 농산물보다 건조·세척·다듬기 등의 처리를 한 농산물에서 미생물이 더 많이 검출됐다.
농관원 관계자는 "채소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썩지 않은 퇴비를 쓰거나, 농산물 처리시설이 위생적이지 않은 과정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생기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신선농산물을 구입한 뒤 최대한 빨리 먹고, 남은 채소는 냉장보관해야 하며 깨끗이 잘 씻어서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농산물 세척용수의 경우 최근 그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50개 시설을 조사했으나 전체 시설에서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재욱 농관원장은 "잔류농약 등 화학적 위해 요인뿐만 아니라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병원성미생물 등 생물학적 위해 요인에 대해서도 철저한 안전관리를 해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관원은 올해에도 생산 및 유통·판매단계 농산물 및 용수를 대상으로 병원성미생물 오염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농산물 1101건을 대상으로 오염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6일 밝혔다.
농산물 및 세척용수 1101건 중 13건(1.2%)의 농산물에서 식중독균 7종이 우려할 수준으로 높게 나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생식채소류가 1.5%로 가장 높았고, 가축매몰지역 농산물 1%, 단순처리 농산물 0.9%에서 식중독균이 우려할 수준으로 검출됐다.
단순처리 농산물의 경우 깐양파, 절단 양배추처럼 껍질을 깎거나 절단 등의 처리 농산물보다 건조·세척·다듬기 등의 처리를 한 농산물에서 미생물이 더 많이 검출됐다.
농관원 관계자는 "채소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썩지 않은 퇴비를 쓰거나, 농산물 처리시설이 위생적이지 않은 과정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생기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신선농산물을 구입한 뒤 최대한 빨리 먹고, 남은 채소는 냉장보관해야 하며 깨끗이 잘 씻어서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농산물 세척용수의 경우 최근 그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50개 시설을 조사했으나 전체 시설에서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재욱 농관원장은 "잔류농약 등 화학적 위해 요인뿐만 아니라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병원성미생물 등 생물학적 위해 요인에 대해서도 철저한 안전관리를 해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관원은 올해에도 생산 및 유통·판매단계 농산물 및 용수를 대상으로 병원성미생물 오염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
'농산물 식중독균'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