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트랙 납, 실제 조사에서도 기준치 넘는 초등학교 '절반 이상'
김수정 기자
4,205
공유하기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이 깔린 학교 운동장의 중금속 검출 논란이 잇따른 가운데 실제 조사에서 절반 가량은 납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노출에 따른 유해성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어린이들은 최대허용량보다 1.24배 많이 노출돼 우려되는 수준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수도권 소재 30곳의 초등학교에 있는 인조잔디 운동장과 우레탄트랙에 대해 유해물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레탄트랙 25개 중 13개가 한국산업표준(KS) 납 기준치 90㎎/㎏을 초과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정부는 납, 카드뮴, 크롬, 아연, 수은, 비소 등 6개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 7종의 함유량을 조사했다. 납 등 6개 중금속의 함유량 조사 결과, 인조잔디 파일이나 충진재에서는 모두 한국산업표준 기준치 이내로 중금속이 검출됐다.
그러나 우레탄트랙의 경우 납 농도 규제가 강화되면서 최근 생산된 제품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조사대상 25개 중 52%인 13개가 기준치인 90㎎/㎏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많게는 기준치의 100배 이상을 초과한 학교도 있었다.
시공과정에서 우레탄트랙을 빨리 굳게 하기 위해 납을 추가하거나 안료 중에 함유된 중금속, 주변 환경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프탈레이트 7종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 1종만이 검출됐다. 현재 세계적으로 우레탄트랙에 대한 프탈레이트에 기준치는 없다.
정부는 이러한 우레탄 트랙이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유해물질의 위해성도 평가했다. 93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을 이용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납, 크롬 등 12종을 대상으로 평생 노출을 전제로 조사했다. 평가 결과,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와 납의 위해성은 일부 우려되는 수준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 어린이의 평균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 발암위해도는 3.29×10-5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평생 노출됐을 경우 10만명당 1명이 암에 걸릴 확률인 1×10-5를 초과한 결과다.
납의 위해도는 1.24로 집계됐다. 이는 최대허용량보다 1.24배 많이 노출됐다는 의미로 1.0 이상일 경우 위해가 우려된다고 판단한다.
이번 조사와 함께 실시한 초등학교 87곳 교실에서의 먼지, 책상, 교구제 등을 접촉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발암위해도 평가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교육부 등에 통보해 우레탄트랙 관리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에는 유해물질에 의한 영향 저감과 우레탄트랙 바닥에 앉지 않기와 야외활동 후 손씻기 등 어린이 행동요령 교육을, 국가기술표준원에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한국산업표준 기준치 설정 등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수도권 소재 30곳의 초등학교에 있는 인조잔디 운동장과 우레탄트랙에 대해 유해물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레탄트랙 25개 중 13개가 한국산업표준(KS) 납 기준치 90㎎/㎏을 초과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정부는 납, 카드뮴, 크롬, 아연, 수은, 비소 등 6개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 7종의 함유량을 조사했다. 납 등 6개 중금속의 함유량 조사 결과, 인조잔디 파일이나 충진재에서는 모두 한국산업표준 기준치 이내로 중금속이 검출됐다.
그러나 우레탄트랙의 경우 납 농도 규제가 강화되면서 최근 생산된 제품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조사대상 25개 중 52%인 13개가 기준치인 90㎎/㎏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많게는 기준치의 100배 이상을 초과한 학교도 있었다.
시공과정에서 우레탄트랙을 빨리 굳게 하기 위해 납을 추가하거나 안료 중에 함유된 중금속, 주변 환경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프탈레이트 7종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 1종만이 검출됐다. 현재 세계적으로 우레탄트랙에 대한 프탈레이트에 기준치는 없다.
정부는 이러한 우레탄 트랙이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유해물질의 위해성도 평가했다. 93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을 이용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납, 크롬 등 12종을 대상으로 평생 노출을 전제로 조사했다. 평가 결과,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와 납의 위해성은 일부 우려되는 수준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 어린이의 평균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 발암위해도는 3.29×10-5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평생 노출됐을 경우 10만명당 1명이 암에 걸릴 확률인 1×10-5를 초과한 결과다.
납의 위해도는 1.24로 집계됐다. 이는 최대허용량보다 1.24배 많이 노출됐다는 의미로 1.0 이상일 경우 위해가 우려된다고 판단한다.
이번 조사와 함께 실시한 초등학교 87곳 교실에서의 먼지, 책상, 교구제 등을 접촉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발암위해도 평가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교육부 등에 통보해 우레탄트랙 관리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에는 유해물질에 의한 영향 저감과 우레탄트랙 바닥에 앉지 않기와 야외활동 후 손씻기 등 어린이 행동요령 교육을, 국가기술표준원에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한국산업표준 기준치 설정 등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 |
윤성규 환경부 장관. /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