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소득비율 20년째 '뚝'… 기업이익 유보 증가
김노향 기자
2,652
공유하기
![]() |
/사진=머니위크DB |
최근 OECD가 발표한 구조개혁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비율은 1995년 69.6%에서 2014년 64.3%로 5.3%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간 한국의 1인당 GDP는 연평균 3.8% 증가한 데 비해 1인당 가계소득은 2.1% 증가하는데 그쳤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비율은 OECD 회원국 중 바닥권으로 추락했다. 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59.4%), 아일랜드(62.2%), 체코(63.9%) 등 3곳뿐이다.
GDP 대비 가계소득비율이 하락한 것은 정부, 기업, 가계 중 가계가 차지하는 소득이 줄어들었다는 의미라고 OECD는 분석했다.
OECD는 보고서에서 "대다수 국가에서 노동소득 분배율이 하락한 가운데 자본에서 가계부문으로의 소득 재분배율도 낮아졌다"면서 "이는 기업부문의 이익이 가계부문으로 재분배되지 않고 유보되는 비중이 상승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