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국내 1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두고 경제전문가들은 0.3~0.7% 수준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내놓은 3.1%와는 괴리가 크다.

수출 부진이 계속되면서 산업활동이 저하되고 중국 경기둔화 등 대외여건이 좋지 않아 전망치는 추가로 하향조정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7일 기획재정부와 주요 경제전망기관들에 따르면 한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직전 분기 대비 0.3∼0.7% 상승할 전망이다.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의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5%에서 0.3%로 낮췄다. 연간 전망은 2.6%에서 2.4%로 내렸는데 한국 정부의 공식 전망인 3.1%와 비교하면 0.7%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JP모건은 1분기 성장률을 연간으로 환산해 3%에서 2.6%로 하향조정했다. 모건스탠리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최악의 경우 1%를 기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내 금융투자사들도 1분기와 2분기의 경제성장률을 0.4∼0.8% 수준으로 전망했다.

KB투자증권은 2분기 성장률을 0.7%로, 대우증권과 IBK투자증권은 각각 0.6%와 0.8%로 추정했다. 하이투자증권은 1분기 0.3%, 2분기 0.4%를 전망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3%로 전망했다가 이달 말 수정할 예정이다. 2016년 전체적으로 2.6% 수준이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IB들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도 전망한다. 크레디트스위스, HSBC, 바클레이스, 골드만삭스, 도이체방크는 2분기 한은이 기준금리를 1∼2차례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2월에서 3월로 넘어오면서 산업생산 등 지표가 괜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달 수출액 감소폭이 한자릿수로 줄고 물량은 플러스 흐름"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