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흡연 경고그림이 오늘(31일) 공개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흡연 경고그림 전문가 자문위원회' 회의를 열고 흡연 경고그림 시안 10종을 확정했다.


시안은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 질병부위(병변)를 담은 5종과 간접흡연, 조기 사망, 피부노화, 임산부흡연, 성기능장애 등을 주제로 하되 질병 부위를 담지는 않은 5종이다.

복지부는 오는 6월23일까지 10개 이하의 경고그림을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 담배 제조사와 수입사는 12월23일부터 확정된 경고그림을 담뱃갑에 부착해야 한다. 흡연 경고그림은 담뱃갑 포장지의 앞면과 뒷면 상단에 면적의 30%(경고문구 포함 50%)를 넘는 크기로 들어가야 한다.


복지부는 지난해 10월 정부 관계자 및 각계 전문가 15명으로 경고그림위원회를 구성해 해외 사례와 국내 여건, 표현의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왔다. 위원회는 국내외 800여 장의 사진을 놓고 논의를 거친 뒤 가급적 한국에서 자체 제작된 사진을 중심으로 시안에 들어갈 사진을 선정했다.

복지부는 "흡연과 직접 연관된 질병인지, 치료 시술이 사실과 부합하는지,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사례인지 등을 고려해 사실성에 바탕을 둔 경고그림을 제작했다"며 "'지나친 혐오감'을 피하려고 주제별로 저·중·고의 다양한 수준의 사진을 검토했고 해외사례와 비교·검토하는 절차도 거쳤다"고 설명했다.


흡연 경고그림 후보 시안 10종. /사진=보건복지부
흡연 경고그림 후보 시안 10종. /사진=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