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오늘(1일) 북한이 전날 오후부터 군사분계선(MDL) 북방 여러 곳에서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행위를 감행했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GPS 교란은 지난 2012년 이후 4년 만이다.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이번 GPS 교란 활동은 GPS 능력 과시를 통해 대남 긴장을 조성할 목적으로 보이며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북한은 한·미·일 정상이 미국 워싱턴에서 '북핵 대응' 회의를 가진 지난달 31일우리나라를 향해 GPS 전파 교란 공격을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에 전파 혼신 '주의' 경보를 내렸다.


교란 신호 발신지는 북한의 해주와 금강산 비로봉으로 확인됐다. 위치 파악에 사용되는 GPS가 교란되면 항공기와 선박은 물론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이동통신장비 등도 오작동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에서 한 달 전부터 약한 수준의 교란 전파를 시험 발사한 정황이 있었다"며 "그러다가 어제 교란 전파를 최대 출력으로 올렸다"고 했다. 정보 당국은 북한이 시험 단계를 거쳐 이날 GPS 교란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자료사진=뉴스1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