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2주기를 하루 앞둔 가운데, 선체 인양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르면 이달 안에 부력재 설치를 마치고 다음 달 중 선체 리프팅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연영진 해양수산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은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월 인양 완료를 목표로 선수(뱃머리) 들기와 리프팅 프레임 설치 등의 공정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현재 세월호 인양을 추진하고 있는 상하이 샐비지는 세월호를 들어 올리기 위해 부력을 확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에어백 27개를 선체 내부에 설치하고 9개의 폰툰(부력탱크)을 선체 외부에 매달고 있다.


선체 내부 10개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등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약 5000톤의 부력이 생겨 수중 선체 중량을 8300톤에서 3300톤까지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무게중심이 치우쳐 있는 선미 부분이 지면을 지탱하는 힘까지 계산하면 2500톤 크레인으로 선수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선미(배의 뒷부분)가 바닥에 닿아 있기 때문에, 선미가 2600톤의 중량을 떠받쳐 주면 크레인 와이어가 감당할 중량은 700톤에 그친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상하이 샐비지는 이달 중으로 부력확보 작업을 마무리 짓고 세월호 선수를 약 5도 정도 들어 올려 리프팅 빔을 선체 밑에 삽입할 계획이다. 6월에는 들어 올린 뱃머리 아래로 리프팅빔 19개를 집어넣고 선미 아래에도 리프팅빔 8개를 넣게 된다.


리프팅빔에 92개의 와이어를 연결해 세월호를 옆으로 누운 방향 그대로 수중이동 후 플로팅 독에 올릴 계획이다. 7월 중 기상과 조류가 양호한 날을 맞춰 세월호를 플로팅독에 올릴 예정이다. 세월호를 담은 플로팅독이 수면위로 올라오는 데는 약 2~3일이 걸린다. 상하이 샐비지는 수면위로 올라온 플로팅독의 안전상태를 확인한 뒤 목포신항이나 광양항으로 세월호를 옮길 계획이다.

연 단장은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인양방식이라 어려움이 많지만 최대한의 불확실성을 줄여 인양을 반드시 성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 샐비지는 앞서 시신유실방지를 위해 선체의 창문과 출입구 등 접근가능한 개구부를 모두 폐쇄하고 기존에 설치된 유실방지망을 달았다. 혹시 모를 유실에 대비해 세월호 주변에 시신유실 방지 펜스도 세웠다.

왕웨이핑 상하이 샐비지 세월호 인양 현장총감독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연영진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가운데)과 함께 세월호 인양작업 주요 공정 및 향후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장수영 기자
왕웨이핑 상하이 샐비지 세월호 인양 현장총감독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연영진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가운데)과 함께 세월호 인양작업 주요 공정 및 향후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장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