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째 국민소득 2만불대…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나
박민수 기자
3,326
공유하기
![]() |
/사진=이미지투데이 |
LG경제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16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예상되는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2만7200달러로 지난해(2만7340달러)보다 늘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이 2006년(2만823달러) 2만 달러대에 첫 진입한 뒤 10년째 2만 달러대에 머물러 있다. 앞서 주요 선진국들이 국민소득 2만달러대에서 3만달러대 진입시기가 5~6년 정도였던 것을 고려하면 성장 정체로 ‘중진국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은 1988년(2만4470달러) 처음으로 2만달러를 넘긴 뒤 4년 만인 1992년 3만달러를 돌파했다. 스위스는 2년, 스웨덴은 4년, 독일과 덴마크는 각각 6년이 걸렸다.
1인당 국민소득 정체현상은 저물가 문제와 얽혀있다. 1인당 국민소득은 명목 GDP(국내총생산)를 추계 인구로 나눠 구해진다. 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더 증가하는 구조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물가상승률을 1.1%로 예상했다. 지난해에 이어 저유가와 내수 부진이 이어지며 물가도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향후 기업 수익성이 악화돼 고용 및 가계 근로소득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며 “이는 기업과 가계의 투자 및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더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