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베이징모터쇼] 최종식 쌍용차 사장 “중국공략, 치밀한 연구 필요하다”
베이징(중국)=최윤신 기자
6,318
공유하기
![]() |
최종식 쌍용자동차 사장이 중국 시장 공략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드러냈다.
최 사장은 25일 베이징모터쇼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중국 시장 공략에 공부해야 할 것이 많다”며 “개발방향과 중점공략 지역 등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정해 특화전략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는 이날 모터쇼 프레스데이 행사에서 티볼리에어(현지명 XLV)를 중국시장에 공식 출시하고 중국시장 공략 주력 모델인 코란도 C(현지명 코란도)와 렉스턴 W(현지명 렉스턴)을 비롯해 총 6대의 다양한 모델을 전시했다. 이는 국내 최고 인기모델 ‘티볼리’ 시리즈의 아시아 시장 첫 진출로 쌍용차는 오는 6월부터 중국 전역의 판매 네트워크를 통해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최 사장은 현지에 와서 티볼리를 출시하며 딜러들이 높은 관심을 가졌다며 기대감을 드러냈지만 중국의 높은 관세 때문에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힘들다는 점은 분명히 했다. 최 사장은 “쌍용차는 4륜 구동 모델과 디젤 모델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중국 현지에서)수입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로 나간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가솔린 모델은 너무 경쟁이 치열하고 관세까지 더해지면 아무래도 제한이 있다”는 게 그 이유다.
그는 티볼리를 포함한 쌍용차 전 차종의 올해 중국 판매목표를 최소 5000대로 잡았다. 최 사장은 "중국 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대리점망을 확충하고 있다"며 “올해 최소 5000대는 팔아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중국 현지업체와의 합작을 통해 현지생산체계를 갖춰야 할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최 사장은 “중국업체와의 합작은 아직 발표할 단계는 아니지만 지난 몇 년간 접촉을 해왔던 것은 사실”이라며 “중국 시장의 경쟁이 격화돼 업계에 구조조정이 진행중인데, 이런 점을 고려해 신중하게 합작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포화시장인 중국 동부연안이 아닌 ‘서부내륙지역 공략’이라는 전략도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지난해 2400만대, 올해 2500만대 수준으로 예상되는데 생산능력은 4000만대를 넘어섰다고 한다”며 “상대적으로 가솔린 위주로 포화상태인 동부연안 보다는 서북산악지역에서 디젤 수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돼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서북지역의 경우 물류가 문제”라고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그는 또 급격히 친환경차로 개편되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 대비하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고민중이다. 티볼리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과 콘셉트카 SIV-2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고민중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단기간 내에 전기차 대량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은 어려우며 단계적 접근이필요하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REEV(주행거리 연장 전기차) 등 적합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연구 중이며 연말까지 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다. 2020년 무렵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글로벌 시장 정세를 살펴 승부를 건다는 복안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