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주상절리 발견, 드러난 규모만 높이 30m·폭 100m… 육지에서는 희귀
김수정 기자
9,152
공유하기
전남 고흥군의 한 골재 채취장에서 학술적 보존 가치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대규모 '주상절리'가 발견돼 보존 방안 마련에 나섰다.
고흥군은 관내 한 업체가 관리 중인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 일대 골재 채취장에서 최근 주상절리 지대가 확인됐다고 오늘(26일) 밝혔다.
발견된 주상절리는 현재 드러나 있는 규모만 높이 20~30m, 폭 100m로, 수직형과 방사형 구조를 동시에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식으면서 기둥 모양으로 굳은 것을 말하며, 기둥의 단면은 4각~6각형으로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주상절리'는 주로 해안가에 있고 육지에서는 보기 드물지만 이곳 주상절리는 내륙에서 발견됐다.
경주 인근의 부채꼴 모양 주상절리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고흥의 주상절리도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고흥 주상절리는 5~6년 전 골재 채취 과정에서 처음 발견됐으나 이후 별다른 보존 조치 없이 방치된 채 골재 채취가 계속됐다.
한편, 최근 환경단체의 보존요구와 일부 지질학자들이 현장을 방문하면서 보존과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고흥군은 관내 한 업체가 관리 중인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 일대 골재 채취장에서 최근 주상절리 지대가 확인됐다고 오늘(26일) 밝혔다.
발견된 주상절리는 현재 드러나 있는 규모만 높이 20~30m, 폭 100m로, 수직형과 방사형 구조를 동시에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식으면서 기둥 모양으로 굳은 것을 말하며, 기둥의 단면은 4각~6각형으로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주상절리'는 주로 해안가에 있고 육지에서는 보기 드물지만 이곳 주상절리는 내륙에서 발견됐다.
경주 인근의 부채꼴 모양 주상절리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고흥의 주상절리도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고흥 주상절리는 5~6년 전 골재 채취 과정에서 처음 발견됐으나 이후 별다른 보존 조치 없이 방치된 채 골재 채취가 계속됐다.
한편, 최근 환경단체의 보존요구와 일부 지질학자들이 현장을 방문하면서 보존과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 |
제주도 주상절리.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