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외무장관. 지난 13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자료사진=뉴시스
한·러 외무장관. 지난 13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자료사진=뉴시스

한·러 외무장관이 양자회담을 갖고 북핵문제 관련 공조를 강화하고 양국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는 등의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지난 13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핵 문제 공조, 양국 간 실질협력 증진 방안, 동북아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을 논의했다.

윤 장관은 회견에서 "양측이 올해 초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가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은 물론 국제 사회의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북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하나가 되어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양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도 "북한은 무조건 비핵화해야 하고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는 결코 인정할 수 없으며, 북한의 태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의 표현인 안보리 결의 2270호가 충실하게 이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러 외무장관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를 철저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그러면서도 "한반도 지역이 대결의 장으로 변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 러시아의 입장"이라면서 한반도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을 거듭 촉구했다.


한편 이날 양측은 회담 이후 양자 관계, 북핵, 유엔, 북극, 테러, 공보, 영사 등 분야가 포함된 '2016-2017년 양국 외교부 간 교류계획서'에 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