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사진=머니투데이DB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사진=머니투데이DB
일본롯데 주총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 패한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이 '경영권 회복 시도'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 전 부회장은 25일 오전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롯데홀딩스 정기주총 이후 "종업원지주회 회원들의 변화가 고무적"이라며 "표면적인 결과는 지난 임시주총들과 같지만 내부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있음을 체감했다. 앞으로도 불법적으로 경영권을 찬탈한 신동빈 회장, 쓰쿠다 다카유키 사장, 고바야시 마사모토 최고재무책임자 등 현 임원진을 해임하고, 롯데그룹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 끝까지 싸우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9시부터 도쿄 롯데홀딩스에서 진행된 이번 정기주총에서 신 전 부회장이 상정한 '현 임원진에 대한 해임 및 신격호 총괄회장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겸 회장 복귀, 자신과 자신을 지지하는 임원 선임안'은 부결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전 부회장이 '무한 주총'을 공언하며 자신하는 이유는 롯데홀딩스 의결권의 31.1%를 행사하며 경영권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종업원지주회 내부의 변화가 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신 전 부회장 측에 따르면 주총을 거듭하면서 신 전 부회장을 지지하는 종업원지주회 회원들이 결집하고 그 수 또한 늘어나고 있다.

신 전 부회장은 "쓰쿠다 사장, 신동빈 회장의 불법적인 경영권 찬탈 과정, 한국에서의 비리 등 사실을 깨달은 종업원지주회 회원들이 속속 지지 의사를 밝히고, 롯데그룹 경영정상화 모임에 동참하고 있다"며 "지지를 표명하는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기에, 적절한 시점이 되면 회원들 스스로 현재의 불합리한 종업원지주회 의결권 행사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것"이라고 밝혔다. 


종업원지주회는 약 130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지만, 의사결정은 모두 회원총회가 아닌 이사회에서 단독으로 결정된다. 그 결정에 따라 의결권은 이사장이 단독으로 위임 받아 행사하게 되어 있다. 신 전 부회장은 향후 불합리한 종업원지주회의 의결권을 변경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신 전 부회장측은 "현재 쓰쿠다 다카유키 사장이 종업원지주회 31.1%와 임원지주회 6.6%를 합쳐 37.7%, 고바야시 마사모토 최고재무책임자가 관계사 의결권 (공영회) 15.6%를 통제할 수 있어 이들 경영진의 통제하에 있는 의결권이 과반인 53.3%"라며 "결국 이 두 경영자가 사실상 롯데홀딩스를 지배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번 주주총회에서 신 전 부회장 제안 안건의 부결은 이러한 상황에서 초래된 비정상적 결과"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