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비만요인 '인터넷', 이용시간과 비만 위험도 보니…
김선엽 기자
3,349
공유하기
![]() |
청소년 비만요인.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일주일에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이 600분(10시간) 이상인 중·고등학교 학생은 180분(3시간) 미만 학생에 비해 비만 위험이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이런 증상이 두드러졌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혜선 교수(예방의학)팀은 2014년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토대로 남녀·학력·학년 등 청소년 비만요인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오늘(27일) 공개했다. 이 연구에서 국내 중·고생의 평균 BMI는 20.7로 정상 체중이었다. 비만 척도인 BMI는 자신의 체중(㎏)을 키(m로 환산)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25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국내 중·고생의 주당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431분으로 15년 전인 1999년 52분에 비해 8배 가량 증가했다. 정 교수는 "비만 중·고생 2명 중 1명은 인터넷 이용 시간이 주 420분 이상이었다"며 "주 인터넷 이용 시간이 600분 이상인 학생은 180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 위험이 1.4배 높았다"고 설명했다.
비만 위험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중학교 1학년에 비해 3학년은 비만 위험이 1.5배 높게 조사됐으며 고등학교 3학년은 비만 위험이 2.4배로 치솟았다. 남학생이 비만이 될 위험은 여학생의 2.9배였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 변화에 민감하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횟수가 많기 때문이다.
스트레스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비만 위험을 높인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학생의 비만 위험이 그렇지 않은 학생의 1.9배로 나타났다. 중·고생의 비만 위험을 낮추는 해법은 고강도, 근력강화 운동이다. 고강도·근력강화 운동을 일주일에 3일 이상 하면 비만 위험이 각각 28, 43% 낮아진다.
흥미롭게도 패스트푸드·라면을 각각 주 1회 이상 먹는 학생의 비만 위험이 거의 먹지 않는 학생보다 낮았다. 정 교수는 "비만 학생의 절반 이상이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패스트푸드나 라면을 적게 먹은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