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성혼회원 3만3000여 명 중 최근 3년 간(2013년~2016년) 혼인한 재혼부부 1000명(500쌍)을 표본 조사한 ‘2016년 재혼통계 보고서’를 28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듀오에서 재혼한 남성 표준모델은 ▲43.2세 ▲연소득 약 7천500만 원 ▲4년제 대졸 ▲신장 174.6cm ▲일반 사무직이며, 재혼여성의 표준모델은 ▲39세 ▲연소득 약 4천만 원 ▲4년제 대졸 ▲신장 162.8cm ▲일반 사무직 종사자였다.
'2016재혼보고서' 男 43.2세·연소득 7500만원, 女 39세·연소득 4000만원
◆재혼 연령

우선 듀오의 평균 재혼 연령은 남성이 43.2세, 여성이 39세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청이 조사한 재혼연령(2015년 남 47.6세, 여 43.5세)보다 약 4.4세 적은 수치다.

또 듀오에서 재혼한 남녀를 연령대별로 확인한 결과, 30대가 전체의 47.3%(남 36.0%, 여 5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남 45.4%, 여 35.4%), 50대 이상(남 18.6%, 여 5.0%) 순이었다.


그리고 남자 연상 부부는 지난해보다 28.6%p 오른 88.2%로 집계됐으며, 동갑 부부는 전년대비 30%p 크게 줄었다. 이런 결과로 재혼부부의 평균 나이 차는 4.2세였다. 특히 남편이 7살 넘게 연상인 경우가 전체의 22.6%로 가장 많았다.

◆재혼자 연소득

재혼 남성의 연소득(중앙값)은 7500만 원, 여성은 4000만 원이다. 또 남성은 연간 ‘5000만~6000만원 사이’(14.6%)와 ‘1억원 이상’(31.3%)을 버는 고소득자가 많았으며, 재혼 여성은 ‘3000만~4000만원 사이’(26.5%)가 가장 많으며, 남성에 비해 연소득 수준이 고루 분포했다. 남녀의 연간 최고 소득액은 각각 50억 원, 12억 원이었다.


그리고 대부분(80.8%)은 남편 소득이 아내보다 많으며, 아내 소득이 더 많은 경우는 13.8%, 소득이 같은 부부는 5.4%를 차지했다.

◆재혼자 학력


재혼부부 10쌍 중 5쌍(47.8%)은 동일한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학력 분포로 볼 때 ‘4년제 대학 졸업자’(남 57.0%, 여 52.4%)가 가장 많다. ‘대학원 졸업 이상’(남 28.0%, 여 19.2%), ‘전문대 졸업’(남 10.4%, 여 16.6%), ‘고등학교 졸업’(남 4.6%, 여 11.8%)의 학력은 그 뒤를 이었다.

◆재혼자 직업

직업은 남녀 모두 ‘일반사무직’(남 30.2%, 여 19.6%)과 ‘사업가•자영업자’(남 18.4%, 여 13.2%)가 많았다. 뒤이어 남성은 ‘공무원•공사직’(12.2%), ‘의사•약사’(8.4%) 순, 여성은 ‘강사·기타교사’(10.8%), ‘교사’(10.0%) 순이었다.

재혼의 경우, ‘사업가•자영업자’ 간의 혼인이 특징으로, 사업 및 자영업을 하는 남성(92명)의 경우 23.9%(22명), 여성(66명)의 경우 33.3%(22명)가 ‘사업가•자영업자’와 혼인했다.

◆재혼 시 교제 기간

재혼부부의 평균 교제 기간은 9.4개월이었는데, 이는 초혼보다 1개월 12일가량 단축된 결과다. 교제 기간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눴을 때 ‘6개월 이하’는 41.2%, ‘7~12개월’ 36.6%, ‘1년 초과’ 22.2%로 집계됐다.

◆재혼자 거주지 및 종교, 신장

재혼자 거주지를 지역별로 나누면 ‘수도권’(남 68.0%, 여 68.0%), ‘영남권’(남 16.2%, 여 17.2%), ‘중부권’(남 7.4%, 여 7.0%)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재혼 상당수가 ‘동일한 지역간 혼인’(88.6%)으로, 이 중 수도권끼리 결혼한 사례가 전체의 63.2%로 가장 많았다.

한편 종교에 있어서는 남녀 동일성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동일한 종교간의 재혼’은 10.8%에 그쳤으며, ‘종교인과 무교인’간의 결합이 46.6%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재혼부부의 평균 신장 차이는 11.8cm이며, 남편 키가 아내보다 큰 경우가 99.0%로 압도적이었다. 재혼 남성의 평균 신장은 약 174.6cm, 여성은 162.8cm였다.

<이미지제공=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