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에너지신산업 활성화에 나서면서 누리텔레콤에게 커다란 기회를 가져다 줄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일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 종합대책은 각종 규제 완화와 2020년까지 42조원 규모의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AMI통합솔루션 제공회사인 누리텔레콤이 얻을 수 있는 혜택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42조원 규모 에너지신산업 육성정책

정부가 추진하는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은 4년간 30조원을 투입하는 신재생에너지시설이다. 우선 정부는 500MW급 화력발전소 26기에 해당하는 13G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확충할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발전설비 101GW의 13%에 달하는 수준이다.


원활한 신재생발전소 확충을 위해 정부는 RPS제도(발전사업자가 전력 중 일부를 신재생에너지로 의무 공급해야 하는 제도)의 비율을 상향한다. 2018년 4.5%에서 5.0%로, 2019년 5.0%에서 6.0%로, 2020년 6.0%에서 7.0%로 각각 0.5%포인트, 1.0%포인트, 1.0%포인트씩 상향한다.

그동안 불가능했던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 설비 무제한 계통접속도 허용한다. 소규모 사업자가 자유롭게 전기를 사고 팔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ESS(에너지저장장치)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대책도 마련한다. ESS 활용촉진요금 적용기한을 기존 1년에서 10년으로 대폭 확대한다. 활용촉진요금은 ESS를 활용해 전기요금을 절감한 만큼 추가로 더 할인해주는 제도다.


이로써 ESS 투자회수기간이 10년에서 6년으로 단축돼 ESS투자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소규모 사업자가 전기를 사고팔거나 ESS 활용촉진요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요금 정산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강태신 KB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런 기반 시스템이 스마트그리드 AMI시스템"이라며 "정부는 2022년까지 총 2조원을 투자해 전기와 가스 AMI를 보급하고 AMI활용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조원 중 1조5000억원은 전기 AMI 2000만호, 5000억원은 가스 AMI 1600만호가 대상"이라며 "전기AMI 구축으로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다양한 요금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MI사업은 누리텔레콤에게 '기회'

이에 전세계 18개 전력회사 139만호의 수출실적을 보유한 누리텔레콤이 주목받는다. 우선 AMI사업의 일부를 누리텔레콤이 수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누리텔레콤은 국내 산업용 AMI시스템을 독점적으로 구축한 사업자여서 민간 AMI사업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스마트그리드사업 확대로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머리로 아는 것과 직접 맞닥뜨리면서 가슴으로 이해하는 것은 다르다. 사람들은 스마트그리드를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하면서 필요성과 성장성을 인식할 수 있다. 누리텔레콤의 AMI사업 잠재력을 새롭게 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마이크로그리드의 확산도 기회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송전이 어려운 곳에 분산 전력을 구축해 전원을 공급하는 개념이다. 이번 육성책은 RPS제도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구축하고 생산한 전력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도록 해 민간발전사업자의 참여를 유도한다. 민간발전사업자들이 전력을 매매하려면 AMI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누리텔레콤이 이들 민간사업자로부터 AMI시스템을 수주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강 애널리스트는 "2022년까지 2조원을 투자하는 정부의 AMI사업은 누리텔레콤에게 크게 3가지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