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유전자. /자료사진=뉴스1
당뇨병 유전자. /자료사진=뉴스1

당뇨병 발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혈당, 체내 대사조절 관련 16개 신규 유전요인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환자 유전체 정보를 확인해 맞춤 치료를 하는 당뇨병 정밀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는 당뇨병 발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16개 신규 유전요인을 찾았다고 오늘(12일) 밝혔다. 유전요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정보 중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이다.


연구진은 유럽인, 동아시아인 등 5개 인종 약 12만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에서 혈당과 체내 대사와 밀접하게 관련된 단백질 기능을 변화시키는 유전요인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당뇨병과 관련된 유전 부위를 찾아내는 데 그쳤다.

또 유독 아시아인에게만 나타나는 2개 유전요인(PAX4, FES 유전자)을 찾아냈다. 나머지 유전요인은 5개 인종 모두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4000여명의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더 많은 아시아인을 연구할 경우 추가적인 유전요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학계에서는 당뇨병 맞춤 치료와 관련 약물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뇨병 관련 세계 최대 규모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2009년부터 지난 8년간 전세계 22개국과 함께 국제 공동연구로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