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는 바둑기사 이세돌을 4대1로 이기면서 새로운 세상의 시작을 알렸다. 인공지능 딥러닝의 비약적인 발전의 결과였다. 투자의 세계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로보어드바이저 투자법이 기존 펀드매니저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많은 부분에서 인간의 역할이 기계나 컴퓨터로 대체되고 있다. 특정분야에서는 이미 기계가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었다. 실제 로보어드바이저와의 수익률 대결을 보면 펀드매니저가 열세에 몰리는 듯하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투자원칙이 있다. 우량기업을 발굴해 싸게 사고 적정가격에 파는 것이다. 이런 역할을 지금까지 펀드매니저가 수행했다면 앞으로는 기업분석, 시장의 다양한 신호포착, 투자종목의 선정, 투자비중의 결정 등을 로보어드바이저가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기계의 장점을 살리고 부족한 점을 펀드매니저가 보완하는 방식으로 시너지를 내야 한다.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운 이유가 변동성 이외에도 인간이 감정에 휩쓸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투자법은 이런 인간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투자를 적용해 승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꾸준한 ‘트렉 레코드’를 통해 시장의 신뢰를 얻는 점도 숙제다.

이런 상황에서 펀드매니저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투자방법을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이미 밸류시스템 투자자문이나 쿼터백투자자문 등 국내 투자사들은 로보어드바이저 투자시스템을 발빠르게 도입해 관련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도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을 판매 중이다.


로보어드바이저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보자. 세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게 변한다. 투자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경제독립을 쟁취하고 행복한 부자가 되는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
[청계광장] 로봇 vs 펀드매니저
해서는 열린 자세와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빠른 적응이 필요하다. 1% 스마트한 젊은 부자의 탄생을 지켜보면서 자신의 실력을 키우고 변하는 세상에 대한 빠른 학습이 필수적이다.

바쁘고 고된 일상이지만 하루에 잠깐의 짬을 내어 책을 읽고 새로운 투자법을 공부해 종잣돈을 불려가는 노력을 기울이자. 지금은 다소 생소한 로보어드바이저 투자법이 앞으로 자산관리의 주류가 될 수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투자에 자산을 배분하는 것 자체가 리스크 분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49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