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시스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시스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하고 “지난 주말 잭슨홀 미팅에서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정책금리 인상 여건이 최근 수개월간 강화됐다’고 발언한 데 이어 스탠리 피셔 부의장도 연내 두 번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26일(현지시간) 옐런 의장은 미국 캔사스시 연준은행 주최의 연례 경제심포지엄인 '잭슨홀 미팅'에서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전망 개선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피셔 연준 부의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이 총재는 최근 국제 신용평가 기관인 피치사의 국가신용등급 연례협의단과 한국 경제의 현안을 논의한 결과 연례협의단이 한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연준의 금리인상 ▲가계부채 ▲인구 고령화 등을 꼽았다고 언급했다.

그는 3가지 리스크 요인 중 인구 고령화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보았다. 이 총재는 "인구 고령화 문제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가계부채 문제보다 풀어가기 훨씬 어렵다"며 "한국의 경우 내년부터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 속도도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그 대책은 미흡하다"고 우려했다.


미국 통계국이 지난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현재 13.0%지만 2050년이 되면 35.9%에 달해 일본(40.1%)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또 국제연합(UN)은 현재 수준의 합계출산율(1.24명)이 지속될 경우 한국의 총인구는 지난해 5000만명 수준에서 2070년 4000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는 "저출산 문제는 지금 대책을 세워도 효과가 20~30년 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야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며 "한은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역점 과제로 생각해서 연구를 강화하고 그 결과를 정부와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