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음식, '메밀전·옥돔·홍어' 등 지역따라 천차만별
김나현 기자
2,811
공유하기
![]() |
추석 음식. /자료사진=뉴시스 |
추석 명절이 다가오는 가운데 추석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경기도에서는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북어를 올린다. 북어는 통으로 구워 올리는 경우가 많다. 녹두를 갈고 배추 고명을 얹은 녹두전을 올리는 곳도 있다.
강원도는 생선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생선전, 생선포뿐만 아니라 가자미, 대구 등을 찌고 고추를 고명으로 얹은 생선찜도 올라간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인 평창군에서는 메밀전을 올린다.
충청도에서는 닭을 삶고 달걀 고명을 얹은 음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경상도와 가까운 지역은 가오리포, 대구포, 상어포 등 생선포가 올라간다. 전라도와 가까운 지역은 낙지, 병어, 홍어 등 해산물이 올라간다.
경상도는 도미, 민어, 방어 등 생선과 조개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 대구에서는 상어를 토막 내고 포를 떠서 소금에 절인 음식인 돔배기를, 안동에서는 안동식혜와 자반고등어를 올린다.
전라도에서는 홍어를 제사상뿐만 아니라 잔치상에도 올린다. 가오리나 병어를 구워서 올리는 곳도 있다. 꼬막으로 유명한 벌교에서는 꼬막을 올린다.
제주도는 옥돔, 전복 등 특산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또 빵이나 바나나, 파인애플 등의 열대과실을 올린다. 오메기술을 올리는 곳도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