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정찬우 한국거래소 신임 이사장은 거래소 구조개편을 최우선 핵심현안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5일 정 이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핵심현안인 거래소 구조개편을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조속히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오는 11월10일이 정무위 의결일인데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자본시장법 개정안 통과 후 세부 법령이 정비 되는대로 구조개편을 위한 조직개편을 조속히 추진할 것”이라며 “최대한 슬림하면서도 그룹 전체가 유기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구조를 설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혁신기업 상당을 독려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거래소는 상장제도 및 심사관행을 개선해 적자기업이라도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으면 상장할 수 있는 시장 친화적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거래소는 '크라우드펀딩→스타트업마켓→코넥스→코스닥 상장'으로 이어지는 성장 사다리 종합인프라 구축도 진행 중이다.

또 정 이사장은 한미약품 사태에서 허점이 여실히 드러난 자율공시제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30일 독일 베링거잉겔하임과 기술 라이선스 계약 해지 공시가 있기 전 공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내부정보 유출 혐의를 받고 있다.


정 이사장은 “한미약품 사태가 벌어진 것은 기술제휴 도입과 관련한 자율 공시사항 때문”이라며 “자율공시와 정정공시를 당일에 하거나 공시의무를 강하게 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의무공시로 지정하는 것은 기업마다 특성이 다른 측면이 있어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