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 뜻, '시골로 내려가다'… 관직·정계 사임 표현
김나현 기자
6,279
공유하기
![]() |
하야 뜻.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최순실씨 의혹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청와대 제공) |
최순실씨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이어지면서, 하야 뜻에 대해 관심이 모인다. 하야는 시골로 내려간다는 뜻으로, 관직이나 정계에서 물러나는 것을 뜻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이승만 전 대통령 하야가 있는데, 이 전 대통령은 4·19혁명 이후 1960년 4월26일 "국민들이 원한다면 대통령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하며 하야했다.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도 하야했다. 닉슨 전 대통령은 워터게이트사건 이후 1974년 사임했다.
한편 최순실씨는 박 대통령과 친분이 있다고 알려진 고 최태민 목사의 딸로 최근 국정 개입 의혹, 딸 정유라씨 특혜 의혹 등을 받고 있다.
최순실씨 의혹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지난 25일 대국민 사과를 통해 "최순실씨는 지난 대선 때 주로 연설, 홍보 등의 분야에서 선거 운동이 국민들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이나 소감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한 뒤 성균관·경북대학교 등 대학교수들, 고려·한양대학교 등 대학생들, 재외동포들 등은 시국선언을 이어 나가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