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동상. 경북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자료사진=뉴스1
박정희 동상. 경북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자료사진=뉴스1

박정희 동상 건립 추진 소식을 들은 이낙연 전남지사가 박정희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부위원장직 임명에 부정적인 입장을 전했다. 이낙연 지사는 어제(2일) 추진위원회가 광화문 광장에 박정희 동상 건립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이같이 밝혔다.

이날 오후 박 전 대통령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출범식을 열고 광화문에 박정희 동상을 건립한다는 사업계획을 밝혀 논란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 국정개입 사태로 취임 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나온 발표였기 때문이다.


이낙연 지사는 박정희 동상 건립계획 소식이 전해지자 같은 날 오후 "부위원장직을 맡는 것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지사는 2014년부터 경북도와 함께 박정희·김대중 전 대통령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는 등 7개 상생협력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 지사가 박 전 대통령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됐지만 광화문 동상 건립 소식이 전해지자 부정적인 의견을 낸 것이다.

이 지사는 최근 최순실 게이트로 박근혜 대통령 일가에 대한 여론이 나빠진 상황에서 광화문 박정희 동상 건립도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해 이같은 입장을 낸 것으로 보인다. 부위원장 자리에는 이 지사 말고도 김관용 경북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 등 현직 광역단체장들이 임명됐다.


이 지사는 "김관용 경북지사가 4개월 전쯤 박정희 전 대통령 탄신기념사업 추진위의 여러 부위원장 가운데 한 자리에 동참해 달라고 제안해 전남-경북이 3년째 상생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 수용했다"며 직위 임명 수락 배경을 설명했다.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박정희기념관 건립을 결정하고 동참하시는 등 동서화합을 통합 국민통합에 노력하셨음을 참고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 지사는 "최순실 사태 이후 생각을 다시 정리하고 있으며, 그래서 탄신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 출범식에 불참하고 축사 영상과 원고도 보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은 어제 박 전 대통령 탄생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출범해 동상 건립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박 전 대통령 구미 생가에는 5m 높이 동상이 있으나 서울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