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레 영하까지 떨어진 기온에 감기에 걸린 사람이 늘었다. 감기 증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이 기침이다. 그런데 계속 되는 심한 기침은 허리 통증까지 유발한다. 복압이 상승하고 앞 뒤로 갑작스런 반동이 생겨 허리에 무리가 가는 탓이다. 특히 추운 날씨로 척추를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경직돼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건강] 기침의 최고 시속은 160㎞, 허리디스크 조심하세요
신경외과 전문의 박정구 원장은 “기침이나 재채기는 몸이 들썩일 정도로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는 강한 날숨 과정인데, 최대 시속이 160km 이를 정도”라며, “이때 우리 몸 안에서는 일시적으로 복부 압력이 크게 증가해 뒤쪽의 척추와 디스크를 압박한다”고 말했다. 외부에서 오는 강한 충격이 아닌 기침이나 재채기와 같은 사소한 충격에도 허리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 것.

이에 과거에 허리디스크 치료를 받았던 사람은 기침과 재채기로 허리디스크가 재발할 위험성이 있어 특히 조심해야 한다. 또한 수술을 받고 회복 과정에 있거나 보존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도 기침과 재채기로 갑자기 복압이 상승해 치료 부위의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그리고 척추 질환이 없더라도 평소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잦은 재채기로 허리 통증이나 허리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박 원장은 “심한 기침이나 재채기 후 일주일 이상 허리 통증이 지속되거나 엉덩이나 다리에 방사통이 있다면 허리디스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기침이나 재채기는 갑자기 발생하는 몸의 반사작용으로 참기 어려운만큼 준비자세를 익혀두는 것이 좋다. 박 원장은 “억지로 참다보면 오히려 복압을 더 높여 허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며 “차라리 시원하게 기침을 하되, 허리의 부담을 낮춰줄 수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앉아 있는 상태에서는 무릎에 손을 짚어 상체를 지탱하고 허리를 살짝 구부리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서 있을 때는 무릎을 약간 구부려 반동을 낮춰야 허리로 향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