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오늘(17일)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험생이 교사에게 격려를 받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수능.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오늘(17일)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험생이 교사에게 격려를 받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늘(17일) 올해 수능 난이도 등 출제 경향과 관련해 '6·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정진갑 수능 출제위원장(계명대 화학과 교수)은 이날 오전 8시40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올해 수능은 지난 6월, 9월 모의평가 수준에서 출제했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췄다"며 "특히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해 고교 교육 정상화 기조에 맞췄다"고 설명했다.


올해 수능의 전반적인 출제 방향에 대해서는 "이미 출제된 내용일지라도 교육과정상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의 접근 방식을 다소 수정하는 방식으로 출제했다"며 "국어와 영어 영역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했고 그 외의 영역은 개별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사고력 평가를 하는 방향으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올해 수능에서 처음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에 대해서는 "올해 두 차례 실시한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 평가를 기본으로 했다"며 "핵심 내용 위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험생의 수험 부담을 최소화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영욱 수능 검토위원장은 수능 출제 오류 방지와 관련해 "국어 영역에서 경제나 자연과학 지문의 경우, 그 분야 전문가가 나와서 철저하게 교차 검토했다"며 "수차례 피드백을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