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대선주자를 포함한 주요 인사들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에 따른 정국 수습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박원순, 김부겸, 안철수, 안희정, 천정배, 문재인./사진=뉴스1DB
야권의 대선주자를 포함한 주요 인사들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에 따른 정국 수습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박원순, 김부겸, 안철수, 안희정, 천정배, 문재인./사진=뉴스1DB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등 야권 대선주자들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여 정국 수습방안을 논의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금 촛불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며 "이제 박 대통령이 결단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버티면 법적으로 탄핵 사유도 충분하다"며 "먼저 퇴진을 선언하고 이후에 질서 있게 퇴진하는 방안을 국회와 협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촛불민심의 핵심인 대통령의 즉각적 퇴진을 이뤄내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역사를 써야한다"며 "무엇보다 헌정을 유린하고 농단한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이 엄정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최순실 게이트의 모든 책임자를 즉각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이 상황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국민과 대통령이 광장에서 부딛혀서 심각한 불상사가 될 수도 있다"며 "자진퇴진을 위해 치열하게 싸우되 중간에서 보완방법으로, 보완수단으로 정치권은 지금즉시 탄핵절차에 착수하는 것이 옳다"고 가세했다.

심상정 대표는 "대통령은 정식으로 피의자가 됐다"며 "대통령에게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적용할 수 없다. 자리에 계속 있으면 국익만 훼손된다. 국민의 명령은 퇴진이다. 26일까지 시한을 줬다. 자진 사퇴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명령대로 헌법에 의거 국회 탄핵 절차 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대통령이 헌법을 파괴한 것이 이 사건의 본질"이라며 "대통령이 질서있게 퇴진할 수 있도록 여야 합의로 총리를 세우고, 탄핵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국민이 심판하신 대통령 임기는 사실상 끝났다"며 "대통령이 이 민심에 버티기에 일관하는 것은 야권은 항상 분열한다는 인식이 있어서다. 주권자의 뜻을 받들기 위해 함께 힘을 모으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