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모레(30일) 서울·대전·부산 등 방방곡곡서 열린다… "시민불복종의 날"
김나현 기자
2,748
공유하기
![]() |
총파업. 김욱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왼쪽 두 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오늘(28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시민불복종의 날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들은 오는 30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오후 4시 도심 행진을 한다. 이후 오후 6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촛불 집회를 연다.
이외에도 ▲대전 동구 대전역동광장(오후 3시) ▲충북 청주시 상당공원(오후 3시) ▲부산 부산진구 송상현광장(오후 4시) ▲광주 동구 금남로(오후 4시) ▲대구 중구 한일극장 앞(오후 6시) 등에서도 불복종 행동이 진행된다.
총파업은 법령에 위배될 소지가 있는 정치 총파업이다. 민주노총은 위법 소지가 있지만 최근 시국의 중대성을 고려하고, 주장하는 내용이 노동자의 권리와 상당한 연관이 있다고 판단해 총파업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공무원노동조합 등도 연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총파업에 동참한다. 전국 노점상 99%에 해당하는 2만~3만명도 일제히 매대를 접는다. 중소 상인들도 가게 문을 닫고 총파업에 동참한다.
이에 대해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오늘 "민주노총은 1987년 노동자 대투쟁과 1996년 노동법 개정 투쟁에 버금가는 항쟁의 시기, 세상을 바꾸는 총파업에 돌입하자며 투쟁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며 "가뜩이나 힘든 우리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파업은 근로조건 개선과 무관한 정권 퇴진 및 정부 정책 저지를 위한 목적의 정당성이 없는 불법 파업"이라며 "사회 혼란기에 편승해 반기업 정서를 확산시키기 위한 정치투쟁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경총은 "민주노총이 불법 파업에 돌입할 경우 정부가 단호히 대처해 사회 혼란기 공권력 이완을 틈타 불법 투쟁이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