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삼전지구 행복주택. /사진=뉴시스 DB
서울 송파구 삼전지구 행복주택. /사진=뉴시스 DB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행복주택입주를 희망하는 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에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모델인 행복주택리츠를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를 위해 LH는 지난달 30일자 국토교통부로부터 행복주택리츠 1호 영업인가를 받았다.

행복주택리츠는 지난 4월 정부에서 발표한 ‘맞춤형 주거지원을 통한 주거비 경감방안’인 이른바 ‘4·28 대책’의 일환이다.


특히 LH가 공급 방식 다양화와 공급대상 확대를 통해 정부와 협업하고 기금 등이 출자한 부동산투자회사(리츠)가 공동사업시행자인 LH의 토지를 임대해 임대주택을 건설·운영하는 제도다.

LH는 리츠와의 회계분리를 통해 부채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행복주택 입주희망자들은 공급확대를 통해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올해 행복주택은 4855호 입주자 모집에 3만6500명이 신청해 평균경쟁률이 7.5대 1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행복주택리츠 시범사업은 성남고등A-1(1520호) 및 남양주별내A1-2(1220호)를 대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행복주택리츠의 임대료는 기존 행복주택 수준과 동일하게 주변시세의 60~80%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이며 입주자격 등도 기존 행복주택과 동일하다.


LH 관계자는 “행복주택리츠를 시작으로 젊은 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다양한 공공임대주택 확대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